학술논문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이용수 610
- 영문명
- The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ual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Overdependence of Smartphones by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장성화(Sung-Hwa JANG) 지명원(Myong-Won CHI) 이주연(Ju-Yeon LEE)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8권1호, 59~7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경기도 소재의 대학생 214명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스마트폰 과의존과는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회복탄력성, 스마트폰 과의존과 회복탄력성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이 부분 매개 효과가 검증되었다. 이에 스마트폰에 대한 조절능력과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고, 대인관계에서 적절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현실적 대안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s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over-dependence of smartphones among college students. A survey of 214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do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resulted in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inappropriate correlation between social interaction anxiety, resilience,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and resilience has emerged. Seco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at university students are aware of has been shown to affect smartphone overdependence. Finally, the effects of social interaction anxiety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have been partially verified for control, positivity, and sociality. As a result, realistic alternatives that improve control and resilience of smartphones and make them properly used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re importa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여성 상담자의 알아차림과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
- 지역사회 여성정신장애인을 위한 Art Brut회복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중학생이 지각한 부정적 부모양육태도와 공격성의 관계
-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낙태 외상에 대한 심리상담의 필요성
- 마누에서의 위계질서, 오염, 그리고 불안의 문제
- 대학에서 보건·의료·복지분야 다직종연계교육(IPE)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 노인복지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아동기자녀를 둔 부모의 전문적 도움추구 회피 및 중단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탐구
- 유아교사의 전문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소명감의 매개효과
-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주간보호센터 이용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부모강요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중년기 여성들이 저널치료를 통해 인생2막에서 마주하는 것들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기반 외상 후 성장프로그램 개발
- 창의력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 메타분석
- 군무원의 의사소통능력과 조직몰입의 관계
- 보육교사의 그릿, 정서지능, 교사효능감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성별 및 자기 신체상에 따른 섭식행동의 차이
- 아동 성적 길들이기 양상의 이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인지장애 노인의 유튜브 기반 예술치료 참여에 따른 개인별 심리 및 생리 반응 분석
- 병원 조직문화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경험 탐색 : 예술기반연구
- 구조적 인생회고 기법과 결합한 치료적 음악활동이 노인의 노화불안과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