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Identifying player centric digital game attributes using repertory grid technique
이용수 16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컴퓨터게임학회
- 저자명
- 민애홍(Aehong MIN) 이혜정(Hyejung LEE) 이정우(Jungwoo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제33권 4호, 14~24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디지털 게임은 인터넷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점점 더 다양해지고 복잡해지고있다. 기존의 게임분류를 넘어서 플레이어 관점 디지털게임의 특성을 반영한 새로운 게임 분류가 필요하다. 현재의 게임 분류들은 게임공급자의 입장에서 장르를 구분하는 일반적인 분류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게임 플레이어들이 게임을 할 때 활용하는 개인 마음속의 구성개념(personal construct)들을 분석하여 새롭게 나타나고 있는 디지털 게임들의 속성들을 찾아냈다. 개인 마음속의 구성개념들을 찾아내기 위하여 레퍼토리 그리드 인터뷰들을 수행하였다. 레퍼토리그리드방법은 사람들이 마음속에 가지고 있는 구성개념들을 찾아내기 위한 연역적인 연구 방법론이다. 이 방법론을 통하여 22명의 플레이어들로부터 1,669개의 진술문들을 수집했다. 전문가 포커스 그룹을 통해서 진술문들에서 29개의 특성차원들을 찾아내었고 이를 12개의 카테고리, 그리고 게임 상태, 플레이어구조, 물리적 환경, 그리고 게임 플로우의 4가지 메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었다. 기존의 게임 분류들과 비교하여 볼 때 29개의 차원중에서 13개는 이전에 없던 새로운 특성 차원이었다. 결과적으로 새롭게 나타나는 디지털게임의 속성들은 기존의 게임들의 속성들과는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차원들과 카테고리들은 앞으로디지털 게임을 개발 디자인하고 평가하는 데 있어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다.
영문 초록
Since digital games are becoming more and more diverse and complicated than before, a new typology that represents underlying features of digital games from the players’ perspective is needed to be developed as a frame of reference that can be used for future digital game development. Currently, available game typologies are mostly based on either the genre concept or the game producers’ persp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ttributes of newly emerging digital games by analyzing the personal constructs employed by digital game players in assessing digital games. To explicate these personal constructs, a series of in-depth repertory grid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repertory grid technique is an inductive research method designed to elicit underlying personal constructs in the human mind. Twenty-two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self-selected games as elements. A total of 1,669 statements were produced as a result. After the focus group analysis, four meta categories of attributes surfaced: game state, player structure, physical condition, and game flow, along with 29 dimensions in 12 categories. Out of 29 dimensions, 13 dimensions are new compared to the currently available typologies. The result confirms that the newly emerging digital games have different attributes than the old ones. The dimensions and attributes identifi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guidelines in assessing and designing digital games of the future.
목차
1. Introduction
2. Game typologies
3. Research method
4. Discussions and conclusion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e on friendship: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problem
- Depth estimation and segmentation from street view using digital map
- A Study on the Philosophical Perspective of Digital Game’s Identity through Korean Knowledge Classification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ontrolled random storytelling system in interactive storytelling
- Reinforcement learning with one-shot memory
- Identifying player centric digital game attributes using repertory grid technique
- The effects of game over-immersion student s stress and depression on aggression: mediating effect of self-elasticity
- The measurement of gamer’s emotion using immersion rate and questionnaire
- Analysis of Contents for Assessing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Elderly using Driving Simulators
- A Study on efficient shading techniques for low polygon models using point clouds in Unity3D
- A Study on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historical game
- A study on architectural design cases and the latest trends in the virtual world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sychotherapy contents using Unity3D
- Visual novel camera direction using film-shooting technique arc tracking shot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