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Nominative Case Unmarking in Korean
이용수 42
- 영문명
- 발행기관
- 현대문법학회
- 저자명
- 박명관(Myung-Kwan Park)
- 간행물 정보
- 『현대문법연구』제108호,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Nominative Case drop/ellipsis or unmarking in Korean. Kwon and Zribi-Hert (2008) and H. Lee (2020) claim that Nominative Case unmarking occurs in direct perception situations where identification of the agent role of an event participant (represented by a Nom Case-less subject NP) can be grounded in the here and now of utterance time. They go on to provide an information structure-theoretic account of the interpretive contrast between Nom Case-less and Nom Case-marked subject NPs in terms of f(ocus)-structure. They propose that Nom Case-less subject NPs are restructured as the matrix focus of the neutral thetic f-structure. This paper explores a new avenue, arguing that Nominative Case unmarking follows not from the information structure of the whole sentence in question, but essentially from the syntactic structure and interpretational gamut of Korean determiner-less bare common NPs where Nom Case is not marked. More specifically, it is proposed below that in Korean, contextually salient entities tend to be grammatically encoded by Nom Case-less bare NPs, thus the Nom Case unmarking option being attributed to the syntax and semantics of bare common NPs in general in this language.
목차
1. Introduction
2. Nominative Case Marker ‘Drop’ in Direct Perception Situations
3. The Definiteness of NPs and the Role of Nom Case Marker for It
4. Back to Nom Case Unmarking: Contextual Saliency
5.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Small Class of Multiword Verbs in English: A Prepositional Verb or Transitive Phrasal Verb?
- 한국어 수문문에 대한 실험 통사론적 접근
- A Study of Affective Factors that Contribute to Middle School Students Use of Spoken English
- 청자존칭과 사물존칭은 왜 하위절에 나타날 수 없는가?
- 시선추적을 통해 살펴본 대학생 영어학습자들의 복합명사구 수식절 문장처리
- 영어 이동사건의 경로동사와 방식동사의 한국어 번역 양상 연구
- Nominative Case Unmarking in Korean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조선업 외국인 근로자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이중언어학』 연구의 동향 분석 및 향후 방향 - 토픽 모델링 및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학습자 언어 연구의 역사와 전망: 『이중언어학』 제1호~제99호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