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수문문에 대한 실험 통사론적 접근
이용수 101
- 영문명
- An Experimental Syntactic Approach to Korean Sluicing
- 발행기관
- 현대문법학회
- 저자명
- 진우현 박소영
- 간행물 정보
- 『현대문법연구』제108호, 61~8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Korean sluicing requires the use of a copular ita ‘be’ unlike English. In explaining such a peculiarity, a (pseudo-)cleft analysis has strongly been proposed that Korean sluicing is derived from a cleft construction, rather than from TP-deletion. In order to examine the plausibility of the cleft analysis, this paper, based on the experimental syntactic method, explores acceptabilities of Korean sluicings, which were designed to vary depending on the three factors, such as the presence or the absence of a correlate in an antecedent clause, of the overt subject kukey ‘it’ in a following clause, and finally, of a case marker on a remnant. 110 participants were told to judge 64 sentences (including filler sentences) and two-way repeated measure ANOVA was performed using SPSS (ver, 25.0). The experiment result shows that the acceptability becomes significantly higher when a correlate and a case marker on a remnant occur enough to ameliorate island effects. Also, the presence of the subject kukey ‘it’was found to have an effect to facilitate parsing. These suggest that the uniform cleft analysis cannot account for the various types of Korean sluicing, rather necessitating non-uniform analyses for them.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
4. 실험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Small Class of Multiword Verbs in English: A Prepositional Verb or Transitive Phrasal Verb?
- 한국어 수문문에 대한 실험 통사론적 접근
- A Study of Affective Factors that Contribute to Middle School Students Use of Spoken English
- 청자존칭과 사물존칭은 왜 하위절에 나타날 수 없는가?
- 시선추적을 통해 살펴본 대학생 영어학습자들의 복합명사구 수식절 문장처리
- 영어 이동사건의 경로동사와 방식동사의 한국어 번역 양상 연구
- Nominative Case Unmarking in Korean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조선업 외국인 근로자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이중언어학』 연구의 동향 분석 및 향후 방향 - 토픽 모델링 및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학습자 언어 연구의 역사와 전망: 『이중언어학』 제1호~제99호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