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founding Epic of Tamra Kingdom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조동일(Dong Il Cho)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주도연구 제19권, 71~108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06.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written records about Tamra kingdom of the Jeju island are too scare to reconstruct its history. We can use oral tradition to fill up the blank. The shaman epic, ponphuri, offers the best evidence to know how the kingdom was founded. Different types of the shaman epic was originated from different ages. The laudatory epic was the product of the primitive hunters. The creation epic was used to demonstrate priest rulers ability in the transitional stage from the primitive to ancient ages. The heroic epic testified the founding of ancient kingdom. The records in Koryeosa, History of Koryeo Dynasty, about three forefathers of Tamra are partial translation of the founding epic. The oral version transmitted until now are different from it in two points. Not only three male forefathers but also their bridges sprang out from the earth. The son abandoned by parents overcame difficulties and returned triumphantly. The marriage of the first generation explained the collaboration of the native hunters and the emigrant farmers. That made the economic background to develop society. The next generation s struggle provided the political force to build a kingdom. The founding epic of Tamra kingdom was composed of these two parts. After the collapse of the kingdom, its founding epic was scattered and transmitted as shaman epics telling the lives of village gods. Among them, two versions of the Kujwa subcounty in the northeast part of Jeju island maintain particularly rich heritag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집] 탐라국 건국서사시를 찾아서 토론문
- [서평] 제주도 속담 연구의 총결산 - 고재환의 『제주속담총론』(2001, 민속원)
- 제주 지역 시민단체의 조직적 역량과 활동 분석
- 태평양 도서국가의 생태적(生態的) 안전보장(安全保障)(ecological security) 연구
- [특집] 4ㆍ3을 소재로 한 시들의 유형과 특징 토론문
- [특집] 서양지도에 나타난 제주의 모습과 그 명칭에 관한 연구
- [서평] 제주 방언의 실상을 살필 수 있는 지침서 - 강영봉의 『제주의 언어 1,2』(2001, 도서출판 제주문화)
- [특집] 4·3과 제주방언의 의미 작용
- 미군정기의 제주도 보건 의료 행정 실태
- 제주사회의 변동에 따른 주택특징에 관한 연구
- [서평] 제주전래동요 연구의 초석 - 윤치부의 『제주전래동요사전』(1999, 민속원)
- [서평] 탐라어의 기원,계통에 관한 연구서 - 김공칠의 『제주방언(濟州方言)의 원류(原流): 탐라어(耽羅語)』(1999, 한국문화사)
- 갈옷 연구
- [특집] 탐라국 건국서사시를 찾아서
- [특집] 4·3을 소재로 한 시들의 유형과 특징
- [특집] 질의에 대한 답변
- [특집] 서양지도에 나타난 제주의 모습과 그 명칭에 관한 연구 토론문
- [특집] 4·3문학비평 에 대한 비판적 성찰
- [특집] 4·3문학비평 에 대한 비판적 성찰 토론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BEST
- ‘선량한 국제 시민성’과 보건외교: 대중동 지역(Greater Middle East)에 대한 튀르키예의 보건외교 정책 분석
- 제주지역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자기결정성이론과 지속가능지능으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생태관광지 방문객의 행동의도에 대한 연구 - 제주 동백동산 습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Assessing Continuity and Change: Transactional Diplomacy in Trump’s Middle East Policy Across Two Terms
- 아랍의 봄 이후 이주민 교육제도 비교 연구: 유럽 6개국을 중심으로
- 내전 배경 무슬림 난민의 자살 위험 요소 차이 분석: 한국과 이집트 비교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