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KalOt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이혜선(Hye Sun Lee)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주도연구 제19권, 329~34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환경문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시점에서 제주의 전통복식인 갈옷은 소재나 염색방법에서 환경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익한 기능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제주복식문화의 계승과 발전을 위해 연구의 필요성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류시험연구원에서 제작된 백면포, 백견포, 백레이온포, 백나일론포에 제주돌감으로 염색한 후 원포, 감즙염색포, 세척포의 형태, 표면반사율, 광선투과도, 중량, 인장강도, 마모강도, 드레이프성, 발수성, 항균성을 측정하여 검토하였다. 감즙염색은 염색효과 외에 섬유간 접착 및 coating효과가 있어서 천의 내구성을 증진시키며 푸새를 한 것처럼 뻣뻣하게 하고 탁월한 자외선 차단성을 부여한다. 발수상 및 항균상도 생기며 이와 같은 효과들은 반복세탁후에도 유지된다.
영문 초록
KalOt was made from fabrics dyed with astringent unripe persimmon juice. The cotton, silk, rayon and nylon fabrics were dyed with astringent unripe persimmon juice. The properties of natural fabrics, dyed fabrics and dyed fabrics followed by washing were measured. The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surface reflexibility, transmittance of light, weight, tensile strength, abrasion resistance, drape property, water repellency, antibacterial property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Coating effect was given by dyeing according to the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 2. Colour of dyed fabrics became darkened as a function of exposing time to sunlight. 3. Blocking effect of ultraviolet light and visible ray was increased by dyeing in all fabrics. Especially dyed cotton fabric blocked UV light perfectly. 4. Weight was increased by dyeing in all fabrics. 5. Tensile strength of cotton increased by dyeing. 6. Abrasion resistance was increased by dyeing in all fabrics. 7. Drape coefficient was increased by dyeing in all fabrics. 8. Water repellency was given by dyeing in cotton fabric. 9. Antibacterial property was given by dyeing. In a word the dyed cotton fabric has perfect blocking effect of UV light, stiffness, endurance, water repellency and antibacterial property. And the effect was remained after 9 washings. Therefore astringent unripe persimmon juice dyeing is a very useful textile finishing.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집] 탐라국 건국서사시를 찾아서 토론문
- [서평] 제주도 속담 연구의 총결산 - 고재환의 『제주속담총론』(2001, 민속원)
- 제주 지역 시민단체의 조직적 역량과 활동 분석
- 태평양 도서국가의 생태적(生態的) 안전보장(安全保障)(ecological security) 연구
- [특집] 4ㆍ3을 소재로 한 시들의 유형과 특징 토론문
- [특집] 서양지도에 나타난 제주의 모습과 그 명칭에 관한 연구
- [서평] 제주 방언의 실상을 살필 수 있는 지침서 - 강영봉의 『제주의 언어 1,2』(2001, 도서출판 제주문화)
- [특집] 4·3과 제주방언의 의미 작용
- 미군정기의 제주도 보건 의료 행정 실태
- 제주사회의 변동에 따른 주택특징에 관한 연구
- [서평] 제주전래동요 연구의 초석 - 윤치부의 『제주전래동요사전』(1999, 민속원)
- [서평] 탐라어의 기원,계통에 관한 연구서 - 김공칠의 『제주방언(濟州方言)의 원류(原流): 탐라어(耽羅語)』(1999, 한국문화사)
- 갈옷 연구
- [특집] 탐라국 건국서사시를 찾아서
- [특집] 4·3을 소재로 한 시들의 유형과 특징
- [특집] 질의에 대한 답변
- [특집] 서양지도에 나타난 제주의 모습과 그 명칭에 관한 연구 토론문
- [특집] 4·3문학비평 에 대한 비판적 성찰
- [특집] 4·3문학비평 에 대한 비판적 성찰 토론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BEST
- ‘선량한 국제 시민성’과 보건외교: 대중동 지역(Greater Middle East)에 대한 튀르키예의 보건외교 정책 분석
- 제주지역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자기결정성이론과 지속가능지능으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생태관광지 방문객의 행동의도에 대한 연구 - 제주 동백동산 습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Assessing Continuity and Change: Transactional Diplomacy in Trump’s Middle East Policy Across Two Terms
- 아랍의 봄 이후 이주민 교육제도 비교 연구: 유럽 6개국을 중심으로
- 내전 배경 무슬림 난민의 자살 위험 요소 차이 분석: 한국과 이집트 비교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