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장애인 고용정책 연구의 동향과 함의
이용수 236
- 영문명
- Trends and Implications of Research on Employment Polic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Focused on the Enactment of the Act on the Promotion of Employme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정희선 윤상용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생활과학연구논총 제24권 제3호, 109~12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systematically reviewed the papers of the last 30 years on the employment polic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problems of the employment polic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suggestions to improve the policy, and whether the proposed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are changing according to the period of the employment polic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main problem of the employment policy of Korea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s that the role of the state is insufficient, and the state only acts as a regulator in the employment polic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uch as setting the mandatory employment rat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imposing levies. It was also raised that employment legislations, such as the “Employment Promotion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Act for the Disabled” and the “Act on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Relief of Rights”, have not provided a practical protective schem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Moreo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earch on the employment policy emphasized the roles of individuals, companies, and the state in the proposal of the employment polic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 state is responsible for securing the employment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rough active interventions in the labor market committed to inclusion. Companies must actively participate in the employment polic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latter are required to fulfill the rights and obligations that individuals have as human beings. Future research on the employment polic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must focus on cooperation and role sharing among the three actors involved in hiring people with disabilities, plans to expand the category of disability as a target for employment service polic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disability criteria as a rational criterion for selecting employment service targets by type.
목차
Ⅰ. 서 론
Ⅱ. 장애인 고용정책 유형과 우리나라 장애인 고용정책의 변동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행복주택 거주 청년층의 주거만족도
- 청주시 중심상업지구 내 상업시설 장애인 접근성 실태
- 위드 코로나를 대비하는 보육교직원 보수교육 운영방안
-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에키네시아의 caffeic acid 유도체 화합물 함량분석
- 행복주택 거주 청년층의 주거만족도
- 모바일 프로모션 사용시 패션제품 대안선택휴리스틱과 쇼핑가치와의 관계
- 다트 머니플레이션을 활용한 옵아트 패션의 바디 프로토타입 개발
- 청주시 중심상업지구 내 상업시설 장애인 접근성 실태
- 자연요소 디자인 연구 경향 고찰을 통한 실내자연요소 표현 방법 및 디자인 항목 구성에 관한 연구
- 아토피피부염 유아와 정상 유아의 식행동 비교 연구
- 지역사회 장애인 사례관리 협력모형 구축 방안 및 장애인복지관의 역할변화
- 위드 코로나를 대비하는 보육교직원 보수교육 운영방안:어린이집 장기미종사자 보수교육 실시간 화상수업 사례
- 국내 장애인 고용정책 연구의 동향과 함의
- 가공식품 선택 시 영양표시 이용현황 및 고혈압 당뇨 환자의 특정 영양소 영양표시 관심 여부에 따른 실제 영양소 섭취량 분석: 2016∼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화장품 쇼핑성향이 쇼핑 시 감정, 관계품질,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명품 패션브랜드에 나타난 블랙컬러의 배색 특징
- 청소년들의 여가활동요구를 통한 여가공간 활성화 방안
- 명품 패션브랜드에 나타난 블랙컬러의 배색 특징
- 국내 장애인 고용정책 연구의 동향과 함의
- 모바일 프로모션 사용시 패션제품 대안선택휴리스틱과 쇼핑가치와의 관계
- 지역사회 장애인 사례관리 협력모형 구축 방안 및 장애인복지관의 역할변화
- 초기 청소년기 공격성이 지각된 인기에 미치는 영향
- 민간단체 소속 자원봉사자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 및 관련 교육에 대한 요구
- 자연요소 디자인 연구 경향 고찰을 통한 실내자연요소 표현 방법 및 디자인 항목 구성에 관한 연구
- 가공식품 선택 시 영양표시 이용현황 및 고혈압 당뇨 환자의 특정 영양소 영양표시 관심 여부에 따른 실제 영양소 섭취량 분석
- 민간단체 소속 자원봉사자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 및 관련 교육에 대한 요구
- 초기 청소년기 공격성이 지각된 인기에 미치는 영향: 또래집단 사회적 목표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