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화장품 쇼핑성향이 쇼핑 시 감정, 관계품질,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92
- 영문명
- The Effect of Consumer’s Cosmetics Shopping Orientation on Emotion, Relationship Quality and Repurchase Intention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박수경(Park, Sookyeong)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생활과학연구논총 제24권 제3호, 99~10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화장품 소비자의 화장품 쇼핑성향을 알아보고 화장품 구매 중 지각하는 감정, 신뢰, 만족를 포함하는 관계품질, 재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유통채널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연구문제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설문지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화장품 구매 소비자의 쇼핑성향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므로 20대~40대 여성 소비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온라인 자료 수집을 위해 편의추출방식으로 39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무응답 및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36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화장품 쇼핑성향은 유명상표 쇼핑성향, 충동적 쇼핑성향, 쾌락적 쇼핑성향, 상표충성 쇼핑성향의 4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둘째, 소비자를 화장품 쇼핑성향에 따라 유명상표선호집단, 쇼핑관심집단, 상표충성집단으로 유형화하였으며 집단 간 감정, 신뢰, 만족, 재구매의도의 차이가 나타났고, 상표충성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감정, 신뢰, 만족, 재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통채널별 분석에서 유명상표 쇼핑성향은 오프라인의 신뢰, 재구매의도에만 영향을 미쳤으며, 상표충성 쇼핑성향은 오프라인에서는 신뢰, 만족, 재구매의도에, 온라인은 감정, 신뢰, 만족, 재구매의도에 모두 영향을 주었다. 또한 오프라인의 경우 감정, 신뢰, 만족, 재구매의도가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온라인에서 감정은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신뢰는 재구매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화장품 쇼핑성향과 쇼핑시 경험하는 감정, 관계품질이 화장품 소비자 특성을 파악하고 화장품 마케팅 전략의 자료로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consumer’s cosmetics shopping orientation on emotion, relationship quality, and re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cosmetics distribution channels. Cosmetics properties were compared depending on the shopping orientation of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64 cosmetics consumer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and cluster analyses. Moreove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following four cosmetics shopping orientations were extracted: famous product orientation, impulsive orientation, hedonic orientation, brand loyalty orientation. Second, consumers were categorized into famous brand preference groups, shopping interest groups, and trademark loyalty groups. Third,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 among groups in terms of emotion, trust,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Fourth, the shopping orientation of the famous brand only affected offline trust and repurchase intention, whereas that of the loyal brand affected both offline and online trust, satisfaction, repurchase, intention, as well as online emotions. Results also showed that offline emotions affected trust,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buy back, whereas online emotions did not affect satisfaction, and trust did not affect repurchase intention. These results concluded that cosmetics shopping orientation, emotion, and relationship quality are critical variables in understanding cosmetic behavior and purchasing behavior.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행복주택 거주 청년층의 주거만족도
- 청주시 중심상업지구 내 상업시설 장애인 접근성 실태
- 위드 코로나를 대비하는 보육교직원 보수교육 운영방안
-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에키네시아의 caffeic acid 유도체 화합물 함량분석
- 행복주택 거주 청년층의 주거만족도
- 모바일 프로모션 사용시 패션제품 대안선택휴리스틱과 쇼핑가치와의 관계
- 다트 머니플레이션을 활용한 옵아트 패션의 바디 프로토타입 개발
- 청주시 중심상업지구 내 상업시설 장애인 접근성 실태
- 자연요소 디자인 연구 경향 고찰을 통한 실내자연요소 표현 방법 및 디자인 항목 구성에 관한 연구
- 아토피피부염 유아와 정상 유아의 식행동 비교 연구
- 지역사회 장애인 사례관리 협력모형 구축 방안 및 장애인복지관의 역할변화
- 위드 코로나를 대비하는 보육교직원 보수교육 운영방안:어린이집 장기미종사자 보수교육 실시간 화상수업 사례
- 국내 장애인 고용정책 연구의 동향과 함의
- 가공식품 선택 시 영양표시 이용현황 및 고혈압 당뇨 환자의 특정 영양소 영양표시 관심 여부에 따른 실제 영양소 섭취량 분석: 2016∼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화장품 쇼핑성향이 쇼핑 시 감정, 관계품질,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명품 패션브랜드에 나타난 블랙컬러의 배색 특징
- 청소년들의 여가활동요구를 통한 여가공간 활성화 방안
- 명품 패션브랜드에 나타난 블랙컬러의 배색 특징
- 국내 장애인 고용정책 연구의 동향과 함의
- 모바일 프로모션 사용시 패션제품 대안선택휴리스틱과 쇼핑가치와의 관계
- 지역사회 장애인 사례관리 협력모형 구축 방안 및 장애인복지관의 역할변화
- 초기 청소년기 공격성이 지각된 인기에 미치는 영향
- 민간단체 소속 자원봉사자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 및 관련 교육에 대한 요구
- 자연요소 디자인 연구 경향 고찰을 통한 실내자연요소 표현 방법 및 디자인 항목 구성에 관한 연구
- 가공식품 선택 시 영양표시 이용현황 및 고혈압 당뇨 환자의 특정 영양소 영양표시 관심 여부에 따른 실제 영양소 섭취량 분석
- 민간단체 소속 자원봉사자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 및 관련 교육에 대한 요구
- 초기 청소년기 공격성이 지각된 인기에 미치는 영향: 또래집단 사회적 목표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