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명품 패션브랜드에 나타난 블랙컬러의 배색 특징
이용수 254
- 영문명
- Black Color Scheme Characteristics Appeared on Luxury Fashion Brand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이재훈(Lee, Jaehun) 김민지(Kim, Minji) 이유라(Lee, Yura) 하유진(Ha, Yujin) 김지영(Kim, Jiyoung)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생활과학연구논총 제24권 제3호, 19~3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블랙컬러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명품브랜드에서의 블랙컬러의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포브스 선정의 명품 브랜드 가치순위 상위 10개 브랜드 중 예비조사를 통해 블랙 컬러의 비중이 높은 브랜드인 디올, 루이비통, 생로랑, 샤넬, 프라다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자료는 2015 S/S부터 2019 F/W까지로 하였다. 블랙 컬러가 주조색과 보조색 이상으로만 쓰인 경우로 한정하여 총 998점의 사진을 분석대상으로 하였고, 의류 아이템만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블랙 컬러 배색의 전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블랙 컬러는 연도별, 시즌별 차이 없이 꾸준히 사랑받았고 생로랑이 블랙컬러의 사용 비중이 가장 높았다. 스트레이트 실루엣, 시크, 엘레강스 이미지의 동일색상 배색이 많았다. 브랜드 별로 보면, 디올은 고명도, 밝은 톤과의 대조배색이 많았고, 엘레강스 이미지가 많았고, 루이비통은 4색 이상의 반복배색과 상하의에 블랙배색이 많이 쓰여 세련미와 실용미를 극대화 시키며 모던한 이미지를 보여주었다. 생로랑은 올 블랙의 스타일이 많았고 스트레이트 라인의 시크한 이미지를 연출하였다. 샤넬은 동일 배색 비율이 높았고, 저명도의 어두운 톤이 많았다. 프라다는 4색이상의 분리배색이 많았고, 컬러가 가장 화려하고 다채로웠다. 5개의 브랜드에서 보인 블랙 컬러 배색의 공통점은 블랙 컬러가 가지고 있는 특유의 도시적, 세련된 감성을 활용하여 명품 브랜드의 우아함을 극대화시킨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olor black in depth and analyzes accompanying design characteristics in luxury fashion brands. Among the 10 most valuable luxury brands according to Forbes , Dior, Louis Vuitton, Saint Laurent, Chanel, and Prada, all of which use a high proportion of black color in their products, were studied. The analytical data were drawn from the 2015 S/S to 2019 F/W. Clothing items were drawn from a total of 998 photos, with the limitation that only black must be used for the main and subordinate colors. This study indicated that black color coordination was consistently preferred without any variation year-to-year or season-to-season, and Saint Laurent had the highest percentage of black color use. Many similar color schemes were adopted, and images with a straight silhouette, chic quality, and elegance appeared. Dior exhibited many contrasting colors with bright tones, exhibiting many images that featured elegance, and Louis Vuitton had a more modern image, using more than four repeated colors and black on the top and bottom, maximizing sophistication and practicality. Saint Laurent had many all-black styles and created a chic image of the straight line. Chanel had a high rate of uniform coloration and had a high dark tone of low brightness. Prada exhibited more than four colors, with the most colorful effect. The common feature in the black color scheme shown in the five brands is that it maximized the elegance of the luxury brands by utilizing the unique urban and sophisticated sensibility of the color black.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행복주택 거주 청년층의 주거만족도
- 청주시 중심상업지구 내 상업시설 장애인 접근성 실태
- 위드 코로나를 대비하는 보육교직원 보수교육 운영방안
-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에키네시아의 caffeic acid 유도체 화합물 함량분석
- 행복주택 거주 청년층의 주거만족도
- 모바일 프로모션 사용시 패션제품 대안선택휴리스틱과 쇼핑가치와의 관계
- 다트 머니플레이션을 활용한 옵아트 패션의 바디 프로토타입 개발
- 청주시 중심상업지구 내 상업시설 장애인 접근성 실태
- 자연요소 디자인 연구 경향 고찰을 통한 실내자연요소 표현 방법 및 디자인 항목 구성에 관한 연구
- 아토피피부염 유아와 정상 유아의 식행동 비교 연구
- 지역사회 장애인 사례관리 협력모형 구축 방안 및 장애인복지관의 역할변화
- 위드 코로나를 대비하는 보육교직원 보수교육 운영방안:어린이집 장기미종사자 보수교육 실시간 화상수업 사례
- 국내 장애인 고용정책 연구의 동향과 함의
- 가공식품 선택 시 영양표시 이용현황 및 고혈압 당뇨 환자의 특정 영양소 영양표시 관심 여부에 따른 실제 영양소 섭취량 분석: 2016∼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화장품 쇼핑성향이 쇼핑 시 감정, 관계품질,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명품 패션브랜드에 나타난 블랙컬러의 배색 특징
- 청소년들의 여가활동요구를 통한 여가공간 활성화 방안
- 명품 패션브랜드에 나타난 블랙컬러의 배색 특징
- 국내 장애인 고용정책 연구의 동향과 함의
- 모바일 프로모션 사용시 패션제품 대안선택휴리스틱과 쇼핑가치와의 관계
- 지역사회 장애인 사례관리 협력모형 구축 방안 및 장애인복지관의 역할변화
- 초기 청소년기 공격성이 지각된 인기에 미치는 영향
- 민간단체 소속 자원봉사자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 및 관련 교육에 대한 요구
- 자연요소 디자인 연구 경향 고찰을 통한 실내자연요소 표현 방법 및 디자인 항목 구성에 관한 연구
- 가공식품 선택 시 영양표시 이용현황 및 고혈압 당뇨 환자의 특정 영양소 영양표시 관심 여부에 따른 실제 영양소 섭취량 분석
- 민간단체 소속 자원봉사자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 및 관련 교육에 대한 요구
- 초기 청소년기 공격성이 지각된 인기에 미치는 영향: 또래집단 사회적 목표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