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이용수 4,286
- 영문명
- Relationships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in University Students: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 저자명
- 황유나(Hwang, Yoona) 이정윤(Lee, Jungyoon)
- 간행물 정보
- 『미래교육학연구』미래교육학연구 제33권 제3호, 217~23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인 초기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과 사회비교 경향성이 각각 매개하는지, 더 나아가 두 변인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SNS 중독경향성, 자기개념 명확성, 사회비교 경향성은 모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사회비교 경향성의 매개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과 사회비교 경향성의 순차매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이 매개함을 밝힘으로써, SNS 중독경향성을 높이는 기제와 경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in university students. The main results as follows. First, covert narcissism, SNS addiction proneness,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the medit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Third, the meditating effect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Fourth,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목차
Ⅰ. 서론 및 이론적 배경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