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해 임시정부의 安昌浩 지지 세력에 대한 재고찰
이용수 211
- 영문명
- Reconsideration of Ahn Changho’s Group in Korea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 발행기관
- 한국근현대사학회
- 저자명
- 宋河衍(SONG Ha-yeon)
- 간행물 정보
- 『한국근현대사연구』제91집, 39~6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19년 말 중국 상해에서 한성정부를 중심으로 노령의 대한국민의회와 상해임시정부가 통합되었다. 통합 임시정부에는 李承晩 중심의 기호 세력, 安昌浩 중심의 서북 세력, 李東輝 중심의 한인사회당 세력이 참여하고 있었다. 그중 안창호중심의 서북 세력은 임시정부에 관한 자료와 연구에서 지역적 파벌 또는 독립운동노선의 갈등의 한 축으로 설명되고 있다. 안창호를 지지했던 자들이 대부분 평안도 등 한반도의 서북 지역 출신이 다수를 점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상해에서 안창호를 지지했던 자들이 지닌 특징은 서북이라는 출신 지역 외에 20~30대의 청년층이라는 또 다른 특징이 있었다. 이들을 다시 세분하면 이광수, 주요한을 중심으로 한 20대 초중반의 청년층과 선우혁, 이유필, 조상섭 중심의 30대 후반의 청년층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전자의 경우에 중점을 두고 안창호 세력 내 20대 청년층의 결집과 활동을 살펴보았다. 이들은 1919년 7월 결성된 임시사료편찬위원회의 구성원이 된 것을 계기로 임시정부의 비서, 서기, 참사원 등 실무진으로 활동하거나 ≪독립신문≫의 간행과 운영의 행정적 지원을 맡았다. 뿐만 아니라 1920년 흥사단 원동위원부를 창립되자 이광수를 필두로 20대의 청년층은 흥사단에 입단하여 당시 안창호가 주창했던 실력양성론을 점진적으로 실현하는 주체가 되었다.
영문 초록
In September, 1919, Shanghai provisional government was united with Hanseong government of Joseon and Korean National Assembly in Russia. A united government was established. 3 powers participated in the united government. They were Lee Seungman power, Lee Donghwi power, and Ahn Changho power. Among them, Ahn Chang-ho is described as an axis of conflict in data and research on the provisional government. Most of his followers were born in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their characteristic was that they were young generations in their 20s and 30s. This article looked at how young people in their 20s worked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They provided administrative support or published newspapers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Based on the situation, young people began to gather around the Heungsadan Wondong Commission.
Ahn Changho considered that making one person an intellectual was to furthermore upgrade the level of the whole nation. His insistence was enough to gather young generation and young people could become the subject of independence movement.
목차
1. 머리말
2. ‘안창호 중심의 서북 세력’의 구성과 활동
3. 1920년 흥사단 원동위원부의 결성과 초기 입단자 분석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기념일 제정 이후 ‘5·18민주화운동기념사’ 연구
- 안재홍의 1930년대 초·중반 파시즘 인식과 사회주의자(서강백)의 비판
- 한국독립운동 사료편찬의 역사와 과제
- 갑오개혁 이후 한성부 警務廳 巡檢의 역할과 실무 활동(1895~1897)
- 상해 임시정부의 安昌浩 지지 세력에 대한 재고찰
-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백주년과 公共 議題
- 박정희 정권기 농촌근대화촉진법 제정의 결과와 성격
- 해방 후 손진태의 활동과 국사교과서 편찬
- 1950년대 ‘결혼허가신청서’를 통해 본 한인 여성과 미군의 결혼과 이주
- 한국근현대사연구 제91집 목차
- 나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