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규상장기업의 재량적 매출액 조정에 관한 연구

이용수  45

영문명
Study of the Discretionary Sales Management of Initial Public Offering Firms
발행기관
한국회계정보학회
저자명
정아름(Jung, A-reum)
간행물 정보
『회계정보연구』제37권 제1호, 83~10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회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전성일·이기세(2011)는 신규상장기업의 경우 매출채권 계정과목과 이익조정의 관련성이 높음을 발견하였으며, Marquardt and Wiedman(2004), Fedyk et al.(2017)은 신주발행 예정기업들이 보고이익을 상향 조정하기 위해 매출액을 활용함을 주장하였다. 선행연구들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연구로서는 처음으로 신규상장기업들의 매출액 조정행태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주요 가설을 “신규상장기업이 상장이전에 매출액을 재량적으로 상향 조정한다”로 설정하고, 2007년부터 2015년까지 신규상장된 87개 기업을 대상으로 신규상장 2년 전부터 2년 후까지 총435기업-연도를 표본으로 구성하였다. 신규상장기업의 재량적 매출액 조정을 살펴보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Stubben(2010)의 수익조정 모형 (DR1)과 가장 최근 발표된 Giedt(2017)의 수익조정 모형 (DR2)을 적용하여 재량적 매출액 조정을 측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신규상장기업은 상장 2개연도 이전(t-1, t-2)에 재량적으로 매출액을 상향 조정함을 발견하였다. 즉, 신규상장기업은 상장 시 기업가치를 긍정적으로 평가받기 위해, 상장 이전에 매출액을 상향 조정한다. 반면에, 상장 연도(t=0)에는 상장이전 상향조정된 매출액의 반전현상을 발견하였으며, 이는 재량적 매출액의 하향조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Stubben(2010)과 Giedt(2017)의 재량적 수익모형을 사용하여, Marquardt and Wiedman(2004)와 동일하게 국내에서도 신규상장기업들은 상장이전에 매출액을 상향 조정함을 실증적으로 처음 확인한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는 신규상장기업의 매출 또는 수익의 상향조정행태에 대하여 감사인과 감독당국이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Jeon, Seong-il·Lee, Ki-se et al. (2011) found out that in initial public offering firms, the accounting title of accounts receivable is highly correlated with earning management, and Marquardt and Wiedman (2004) and Fedyk et al. (2017) argued that the firms that would be going to issue new stocks utilize sales to raise the reported earnings.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e patterns of initial public offering firms’ sales management for the first time as domestic research. This study set the main hypothesis that initial public offering firms raise sales by their discretion before listing and constructed 435 firm-year samples with initial public offering firms from 2007 through 2015. To examine the initial public offering firms’ discretionary sales management, this study measured their discretionary sales management, applying Stubben’s earnings management model (2010) most widely used (DR1) and Giedt’s earnings management model (2017) presented most recent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out that the initial public offering firms raised sales by their discretion prior to two years of listing (t-1, t-2). On the other hand, at Year 1 of the listing (t=0), a phenomenon of reversal of sales raised prior to the listing was found, and this appeared the discretionary reduction of sale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have a significance that it was found out that the initial public offering firms raised sales prior to listing in South Korea as well, for the first time, like Marquardt and Wiedman (2004), using Stubben’s discretionary revenue model (2010) and Giedt’s discretionary revenue model (2017). In addition, the result of the discretionary revenue management using the abnormal accounts receivable of initial public offering firms prior to listing suggests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improve the supervision of sales and earnings in the new listing.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및 가설설정
Ⅲ. 연구설계 및 표본구성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아름(Jung, A-reum). (2019).신규상장기업의 재량적 매출액 조정에 관한 연구. 회계정보연구, 37 (1), 83-109

MLA

정아름(Jung, A-reum). "신규상장기업의 재량적 매출액 조정에 관한 연구." 회계정보연구, 37.1(2019): 83-1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