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서열체계 정보와 이익조정에 관한 연구
이용수 29
- 영문명
- A Study on the Fair Value Hierarchy Information of Financial Instruments and Earnings Management : Focused on Other Comprehensive Income
- 발행기관
- 한국회계정보학회
- 저자명
- 김창호(Kim, Changho) 김용식(Kim, Yong Shik)
- 간행물 정보
- 『회계정보연구』제37권 제1호, 111~13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회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유가증권시장 상장회사를 대상으로 금융상품의 수준별 공정가치와 기타포괄손익 간의 관계, 당기순이익과 재량적발생액 및 실제이익조정이 금융상품의 수준별 공정가치와 기타포괄손익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하였다.
금융상품의 수준별 공정가치와 이익조정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OLS 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금융상품의 수준1과 수준3공정가치 변화와 기타포괄손익간에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당기순이익과 기타포괄손익 사이에 유의한 음(-)의 관계가 있으며, 당기순이익이 클수록 금융상품의 수준별 공정가치와 기타포괄손익 사이의 양(+)의 관계가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영자가 총포괄이익을 일정수준에서 유지하기 위해 당기순이익이 클 경우 금융상품의 수준별 공정가치를 활용하여 기타포괄손익을 늘리려는 유인이 낮아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재량적발생액 및 실제이익조정과 기타포괄손익 사이에 유의한 관계가 없으며, 재량적발생액 및 실제이익조정이 클수록 금융상품의 수준별 공정가치와 기타 포괄손익 사이의 양(+)의 관계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량적발생액 및 실제이익 조정의 규모가 클수록 금융상품의 수준별 공정가치를 활용하여 기타포괄손익을 늘리려는 유인이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기타포괄손익을 인식하는 비율이 높은 금융상품일수록 기타포괄손익을 이용한 이익조정에 활용되고 있으며, 경영자들이 총포괄이익을 중요한 성과평가지표로 인식함에 따라 이익조정이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경영자의 이익조정과 관련하여 금융상품의 수준별 공정가치가 당기순이익에 계상되거나 기타포괄손익에 미실현이익으로 계상되는 제도적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기타포괄손익에 계상되는 금융상품 공정가치의 수준별 규모 및 분포 등에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ir value of financial instruments by level and other comprehensive income, and the effect of either net income or earnings man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ir value of financial instruments by level and other comprehensive incom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companies listed in the KOSPI market (excluding financial industries) during 2011~2016.
We use OLS regressio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ir value of financial instruments by level and earnings management.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increases in level 1 and level 3 fair value of financial instruments have significant positive (+) effects on other comprehensive income. In addition, there is a significant negative (-) relationship between net income and other comprehensive income. The net income works in a way that weake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ir value of financial instruments and other comprehensive incom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management, by way of discretionary accruals and real activities earnings management, and other comprehensive income. The discretionary accruals and real activities earnings management work in ways that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ir value of financial instruments and other comprehensive incom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high level of fair value as well as low level of fair value of financial instruments are utilized for earnings management through other comprehensive income. And as managements perceive total comprehensive income as an important performance indicator, earnings management is carried out in more diverse ways.
Accordingly, it would be necessary to consider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that the fair value of financial instruments is accounted as realized net income or unrealized income depending on the kinds of financial instruments. In addition, attention will need to be paid to the amount and distribution of the fair value of financial instruments that are accounted in other comprehensive incom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 도출
Ⅲ. 연구 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종업원 보상 목적과 신규 투자 목적에 따른 자기주식 처분결정 공시의 정보유용성 비교·분석
- 코넥스시장에서 지정자문인이 기업의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서열체계 정보와 이익조정에 관한 연구
- 지배구조와 외국인지분율이 지배주주의 터널링에 미치는 영향
- 신규상장기업의 재량적 매출액 조정에 관한 연구
- 기업의 회계정보의 질과 주식거래량과 관계
- 산업 및 기업특성이 기업소득 환류방식에 미치는 영향
- 법인세 최고세율 인상에 따른 이연법인세보유와 전기법인세납부여부에 대한 시장반응
- 제조원가명세서 공시 여부에 따른 이익조정 실태
- 재무분석가 수의 감소가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 고품질의 감사에 기인한 이익의 질이 자기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