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년 및 고령운전자의 지속적 횡적추적과 시각도에 따른 자극선택 수행 차이
이용수 72
- 영문명
- Difference in Middle-aged and Elderly Drivers’ Performances in Continuous Lateral Tracking and Selecting Stimuli Varied in Visual Angle
- 발행기관
- 한국자료분석학회
- 저자명
- 이재식(Jaesik Lee)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22 No.6, 2489~250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통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 횡적추적과 시각도를 달리한 자극의 선택반응이 동시에 요구되는 조건에서 중년운전자와 고령운전자가 보인 횡적추적에서의 에러 크기, 선택반응에서의 반응속도 및 반응정확률에서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횡적추적은 중심시 영역에서 임의의 수평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는 표적에 대해 휠을 이용하여 커서자극을 일치시키는 것이었다. 선택반응 과제는 5°와 10°의 시각도를 갖는 두 조건의 자극에 대해 미리 정해진 페달을 선택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반응하는 것이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운전자 집단은 중년운전자 집단에 비해 횡적추적에서 더 큰 에러를 보였다. 둘째, 고령운전자 집단은 중년운전자 집단에 비해, 그리고 자극 시각도가 작은 조건에 비해 큰 조건에서 유의하게 더 느린 반응시간과 더 낮은 반응정확률을 보였다. 특히 자극 시각도 증가에 따른 반응시간에서의 증가폭은 중년운전자 집단에 비해 고령운전자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더 컸으나 반응정확률에서는 이러한 상호작용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중년운전자와 비교하여 고령운전자의 경우에는 횡적추적에서의 전반적 어려움뿐만 아니라 자극 시각도가 증가할수록 자극 처리에서의 수행이 더 저하될 수 있다는 것과 반응의 속도보다는 반응의 정확성에 초점을 둔 반응 방략을 사용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difference in error magnitude in the lateral tracking, the response speed and response accuracy in the selection response the middle-aged and elderly drivers were compared under continuous lateral tracking demand. The lateral tracking was to match the cursor stimulus using a wheel for a target that continuously moves in an arbitrary horizontal direction in the central vision area. In the selective response task, the drivers were instructed to respond quickly and accurately to two types of stimuli with 5° and 10° visual angles with corresponding pedal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lderly drivers showed a greater error in lateral tracking than the middle-aged drivers. Second, compared to the middle-aged drivers, the elderly drivers showed significantly slower response speed and lower response accuracy in the visual angle of 5° than that of 10°. In particular, the increase in response time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stimulus eccentricity was relatively greater in the elderly drivers than in the middle-aged drivers, but this interaction effect was not observed in the response accurac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elderly drivers can experience the overall difficulty in lateral tracking and visual processing for peripherally presented stimuli. Also, it seemed that the elderly drivers adopt response strategy of focusing accuracy rather than speed of the response.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결과
4.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WTP 함수에 기반한 Spike 모형에 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Macroeconomic Fundamentals and Demographic Change on Housing Price
- Typologies of Serial Arson: Explorative Study based on Latent Class Analysis
- 중·고령자의 일자리 이동에 관한 연구
- 20면체계획과 12면체계획의 통계적 성질에 관한 연구
- 오이의 엽록소 형광 분석에 의한 광합성능 지표화 연구
- Fault Detection of Railway Point Machines Using Electrical Signals
- 머신러닝기법을 이용한 심사위원 자동추천 알고리즘 개발
- 간호대학생의 성평등의식, 진로정체감, 의사소통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간호사 보수교육 실시기관의 교육운영 현황 및 프로그램 질 평가
- 중년 및 고령운전자의 지속적 횡적추적과 시각도에 따른 자극선택 수행 차이
- 남북 관계 뉴스 제목 텍스트 마이닝 분석
- 대학생의 베이커리카페 선택속성이 고객만족 및 SNS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COVID-19 팬데믹과 온라인 개학
- 재무적 특성이 기업성장률에 미치는 영향
- CNN을 활용한 CTR 예측 시각화 분석
- 중국 교통수단의 발전과 지역 경제성장
- 은행의 자금조달 충격과 대출자산 재구성간의 관련성
- 주식수익률 변동성의 비대칭적 반응에 관한 국제적 비교연구
-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실적 공시 후 주가 예측
- 손해보험회사의 재보험전략과 기업가치
- 1인 창조기업의 기술사업역량이 생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Dynamic Spillover across Uncertainty, Financial and Commodity Markets
- 심층신경망을 활용한 비모수적 소프트웨어 신뢰성 모형과 NHPP 소프트웨어 신뢰성 성장 모형 비교
- 예측모형의 오차분산 추정에 관한 모의실험 연구
- LDA와 Word2vec 방법론을 이용한 의정부시 SNS 데이터의 토픽 모델링 및 시각화
- Prophet 모형을 이용한 마늘 가격의 장기 예측 및 트렌드 분석
- 한국에서 알츠하이머 질환 사망의 사회경제적 불평등
- 교양강좌로서 데이터 리터러시 가능성 탐색
- 지역호기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메타분석적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중년 여성의 우울과 관련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 A Study on the Medical and Healthcare Consciousness : Centred around 2019 Gyeongsangnam-Do Social Survey
- 감성변수들을 포함한 지역별 반려견의 입양성공모형
- 대표이사의 주식소유비중과 주가급락위험
- 국내 OTT 서비스 산업 현황 및 수요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BEST
- 의사결정나무 분석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탐색
- 대학 재학생들의 중도탈락 패턴 분석 및 이탈 예측: H 대학교를 중심으로
- 가정 내 아동학대 행위자 특성에 따른 유형분류: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중심으로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NEW
- 생애주기별 경제문제와 결혼생활 평가가 결혼 만족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시간 흐름에 따른 정서 편향의 변화: 반응시간과 표류 확산 모델을 활용한 분석
- PLAS 기반 커뮤니티 텍스트 분석: 정치적 성향에 따른 언어 및 심리 특성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