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University Social Responsibility and Educational Performance: Evidence from South Korea
이용수 76
- 영문명
 - 발행기관
 -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박나라(Nara Park) 김정숙(Jungsook Kim) 손선화(Sun Hwa Son) 엄영호(Young Ho Eom)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63권 제4호, 5~3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대학의 사회적 책임성과 교육적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해 고찰한다. 지난 수십년 간, 대학들은 사회적 조직으로서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형평성과 다양성을 제고하기 위한 각종 차별 철폐 프로그램들을 도입해왔다. 여기에는 정부의 변화된 교육 정책이 대학들에게 연구, 교육, 행정 등의 전통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차별 철폐 프로그램과 같은 사회적 의무를 다하도록 규범적 압력을 가한 것이 큰 영향을 미쳤다. 이에 더하여, 본 논문은 한국 대학 패널 데이터(2008-2015)에 대한 추정일반화최소제곱(FGLS: feasible generalized least squares) 회귀 분석을 통해 대학의 사회적 책임성이 대학의 교육적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점차 증가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의 사회적 책임성 증대 현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데서 더 나아가 향후 대학 교육 정책의 거시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ocial responsibility (USR) and educational performance. For decades, universities as social organizations actively respond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adopt affirmative action programs that embody equality and diversity. In fact, a series of education policy reform has normatively shap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tates and universities that progressively in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e., affirmative action) in addition to research, teaching, and management. Moreover, we argue that USR has an increasingly positive influence on the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by employing FGLS (feasible generalized least squares) regression on panel data for Korean universities (2008-2015). The findings suggest why universities and policymakers should further expand USR.
                    목차
I. Introduction
	                       
	                          II. Universities as Social Organizations
	                       
	                          III. Government and Universities: Affirmative Action
	                       
	                          IV. Affirmative Action and Higher Education System in Korea
	                       
	                          V. Hypotheses
	                       
	                          VI. Research Design
	                       
	                          VII. Results
	                       
	                          VIII. Discussion and Conclus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View on Chinese New Rural Construction and Strategi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 New Community Movement
 - On the Epistemological Shift for the Formation of a More Advanced Sense of Justice in South Korean Society
 - University Social Responsibility and Educational Performance: Evidence from South Korea
 - Prospects of the Korean and Chinese Film Industry after COVID-19
 - Comments on the continuation and practice of community in a post-multicultural society
 - Instructional Design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on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s and Socially Engaged Learning
 - Corona 19 and the Need for global Citizenship: Focusing on the Discussion of Ulrich Beck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