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omments on the continuation and practice of community in a post-multicultural society
이용수 47
- 영문명
 - 포스트 다문화 사회에서 공동체의 지속과 실천에 대한 시론
 - 발행기관
 -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조경순(Jo Kyung-sun) 박세인(Park Se-in) 최창근(Choi Chang-geun)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63권 제4호, 151~18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도래하는 도시 공동체에서는 모든 시민이 공동체의 적극적 구성원이자 실천적 존재로 공동체 구성에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이를 위한 사회적 역량 신장의 방법으로 다문화에 대한 적극적 인문학적 대처에 대해 논의한다. 재난과 위기 극복을 위해서 국적과 인종을 넘는 연대를 바탕으로 건강한 지역사회를 만드는 패러다임으로 전환하기 위해 인문학적 토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모든 공동체 성원이 시민으로서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는 시대로 진입하기 위해 인문 정신 및 공동체 연결의 커뮤니케이터로서 리터러시 역량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이 논문에서는 포스트 다문화 사회에서 리터러시 역량을 키우기 위한 선결 과제로서 우리 사회에 대한 보다 포괄적이고 객관적인 성찰을 시도한다. 고도의 기술 발전과 이로 인한 편리성 속에 내재해 있는 차별과 배제의 위험성을 논의하며, 이방인에 대한 동정과 관용 대신 차별과 배제, 곧 환대의 윤리와 같은 인문적 토대가 공동체의 리터러시 역량 고양을 위한 중요한 요소임을 고찰한다. 또한, 공동체가 지향하는 인문성을 체득하고 공동체와 공동체, 개인과 개인 간의 온전한 융합을 견인할 수 있는 새로운 시민상으로서 ‘커뮤니케이터’를 제언한다.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커뮤니케이터는 공동체를 구성하고 운영할 수 있는 보편적인 시민을 말하는데, 인문학적 리터러시 역량을 갖춘 커뮤니케이터야말로 앞으로의 포스트 다문화 사회에서 필요한 새로운 시민임을 논의한다.
                    영문 초록
In future urban communities, a new paradigm is needed in which all citizens can participate in community formation as active members and practical beings of the community. This paper discusses an active humanistic approach to multiculturalism as a way to increase social capacity. To overcome disasters and crises, this paper conducts discussions on the foundation of Humanities and the literacy capabilities to change the paradigm of creating a local community based on solidarity across nationalities and races. In order to enter an era in which all community members fulfill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as citizens, literacy skills are required as a communicator of humanities and community connection. This thesis attempts a more comprehensive and objective reflection on our society as a prerequisite for developing literacy capabilities in a post-multicultural society. This thesis discusses the dangers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inherent in advanced technology development and convenience. Instead of sympathy and tolerance toward strangers,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that is, humanistic foundations such as the ethics of hospitality, are important factors for enhancing the literacy capacity of the community. We propose a ‘Communicator’ who can learn the humanities aimed by the community and lead a complete fusion between community and community, and between individual and individual. Communicators are universal citizens who can form and operate communities, and communicators with humanistic literacy capabilities are necessary citizens in a post-multicultural society.
                    목차
Ⅰ. Introduction
	                       
	                          Ⅱ. Humanities in Post-Multicultural Society
	                       
	                          Ⅲ. Cultural diversity and civic education
	                       
	                          Ⅳ. Literacy and humanities
	                       
	                          Ⅴ. Communicator and humanities community
	                       
	                          Ⅵ. Conclusion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View on Chinese New Rural Construction and Strategi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 New Community Movement
 - On the Epistemological Shift for the Formation of a More Advanced Sense of Justice in South Korean Society
 - University Social Responsibility and Educational Performance: Evidence from South Korea
 - Prospects of the Korean and Chinese Film Industry after COVID-19
 - Comments on the continuation and practice of community in a post-multicultural society
 - Instructional Design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on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s and Socially Engaged Learning
 - Corona 19 and the Need for global Citizenship: Focusing on the Discussion of Ulrich Beck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