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코로나19 이후 한·중 영화산업의 전망
 - 발행기관
 -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진아위(Qin, Ya-wei) 김미랑(Kim, Mi-lang)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63권 제4호, 135~14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9년 12월 이후 코비드19가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됨에 따라 각국의 정부는 코비드19에 맞서 사회적 거리두기, 온라인 교육 등 다양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강력하게 시행해 오고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 간의 경제활동은 물론 정치, 사회, 문화, 스포츠 등의 전 분야에 걸쳐 인류는 새로운 도전에 위협받고 있다. 특히 밀집된 공간에 여러 사람이 모일 수밖에 없는 영화산업은 그 특성상 결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영화산업은 한중 양국의 문화산업 발전에 있어 중요한 의미와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경제적 측면에서도 그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 분야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위기 상황을 돌파할 자구책이 절실하게 필요한 때이다. 본고는 한중 양국의 영화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부 차원의 정책 시행과 영화업계의 노력 등의 현황을 통하여 향후 한중 양국의 영화산업 발전과 전망을 가늠해 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Since December 2019, as the COVID-19 has spread rapidly around the world, governments have strongly implemented various quarantine policies, including keeping social distance between individuals and online education etc. Nevertheless, mankind is threatened with new challenges in all areas of politics, society, culture and sports, as well as economic activities between countries. In particular, the film industry, where many people gather in dense spaces, has been affected by its nature, resulting in a sharp drop in sales and audience numbers. Since the film industry has significant meaning and value i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ies in both Korea and China, and it is a highly value-added industrial sector in terms of economy, it is time for the government to take measures to overcome such crisis. This paper aims to predict the future development and prospects of the film industry of Korea and China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government-level policies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film industry in both countries and the efforts of the film industry.
                    목차
Ⅰ. Introduction
	                       
	                          Ⅱ. Status of Korean and Chinese Film Industry
	                       
	                          Ⅲ. The Response and Prospect of the Korean and Chinese Film Industry
	                       
	                          Ⅳ. Conclusion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View on Chinese New Rural Construction and Strategi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 New Community Movement
 - On the Epistemological Shift for the Formation of a More Advanced Sense of Justice in South Korean Society
 - University Social Responsibility and Educational Performance: Evidence from South Korea
 - Prospects of the Korean and Chinese Film Industry after COVID-19
 - Comments on the continuation and practice of community in a post-multicultural society
 - Instructional Design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on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s and Socially Engaged Learning
 - Corona 19 and the Need for global Citizenship: Focusing on the Discussion of Ulrich Beck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