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Macular Capillary Plexuses after Cataract Surgery via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성수민(Su Min Sung) 김종헌(Jong Heon Kim) 이규원(Kyoo Won Lee) 강현구(Hyun Gu Kang)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1,number11, 1288~1301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을 이용해 백내장수술 후 황반 모세혈관총 혈관밀도(vessel density, VD) 변화를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2018년 7월부터 2019년 6월까지 백내장수술을 받은 24명 24안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황반표층 모세혈관총(superficial capillary plexus, SCP)과 심부 모세혈관총(deep capillary plexus, DCP), 시신경유두내, 시신경유두주위의 VD와 중심오목무혈관 부위 면적 변화를 술 전, 술 후 1주, 1개월, 3개월, 6개월에 얻은 빛간섭단층혈관조영영상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결과: 중심오목 SCP와 DCP, 중심오목부근 SCP와 DCP, 중심오목주위 SCP와 DCP의 VD는 각각 술 전 15.42 ± 6.61%와 28.43 ± 7.62%, 47.28 ± 5.76%와 53.06 ± 3.89%, 45.20 ± 5.01%와 46.62 ± 5.89%에서 술 후 증가하여 6개월에 17.20 ± 6.21%와 30.52 ± 7.06%, 50.34 ± 5.00%와 53.90 ± 4.20%, 48.52 ± 4.32%와 50.96 ± 5.57%로 모두 유의하게 증가된 상태를 유지하였다(각각 p<0.001, p=0.001, p=0.002, p=0.014, p<0.001, p=0.002). 시신경유두내, 시신경유두주위 VD 및 중심오목무혈관 부위 면적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각각 p=0.068, p=0.332, p=0.206).
결론: 백내장수술 후 황반 모세혈관총 VD는 SCP와 DCP에서 술 후 1주, 1개월, 3개월, 6개월에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We use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OCTA) to evaluate changes in the vessel densities of macular capillary plexuses after cataract surgery.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24 eyes of 24 cataract patients who underwent phacoemulsification cataract surgery from July 2018 to June 2019. The changes in vessel density (VD) in the macular superficial capillary plexus (SCP), the deep capillary plexus (DCP), inside the disc, and in the peripapillary area and foveal avascular zone (FAZ), were analyzed on OCTA images obtained preoperatively and at 1 week, and 1, 3, and 6 months, postoperatively.
Results: The VDs of the foveal SCP and DCP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15.42 ± 6.61 and 28.43 ± 7.62% preoperatively to 17.20 ± 6.21 and 30.52 ± 7.06% at 6 months postoperatively (p < 0.001, p = 0.001). The VDs of the parafoveal SCP and DCP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47.28 ± 5.76 and 53.06 ± 3.89% preoperatively to 50.34 ± 5.00 and 53.90 ± 4.20% at 6 months postoperatively (p = 0.002, p = 0.014). The VDs of the perifoveal SCP and DCP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45.20 ± 5.01 and 46.62 ± 5.89% preoperatively to 48.52 ± 4.32 and 50.96 ± 5.57% at 6 months postoperatively (p < 0.001, p = 0.002). The VDs of the area inside the disc, and of the peripapillary area and FAZ,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p = 0.068, 0.332, and 0.206, respectively).
Conclusions: After cataract surgery, the VDs of the SCP and DCP increased significantly at 1 week, and 1, 3, and 6 months, postoperatively.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속발개방각녹내장과 유리체혼탁으로 발현된 가족성 아밀로이드 다발신경병증
- 양안 망막중심정맥폐쇄로 나타난 다카야스동맥염
- 에탐부톨 유발 독성 시신경병증과 동반된 철결핍성 빈혈에 의한 허혈시신경병증
-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환자에 대한 스피로놀락톤의 치료 효과 및 안전성
- 망막정맥폐쇄 황반부종에서 항혈관내피성장인자와 덱사메타손 삽입물의 2차원 정량적 단기 효과 비교
- 성인 코눈물관막힘에서의 눈물길미세내시경 실리콘관삽입술과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
- 라식수술 후 각막켈로이드의 국내 증례 1예
- 일차 열공망막박리에서 망막하액배액술의 동반 없이 시행한 공막돌륭술의 수술 결과
- 황반원공 망막박리로 나타난 베체트병
- 천공된 앞공막포도종 환자에서 무세포 보존 각막을 이용한 수복적 층판이식술
- 당뇨황반부종에서 0.1% 브롬페낙 점안액의 효과
- 전체각막곡률측정법과 표준각막곡률측정법을 이용한 인공수정체도수 예측의 정확도 비교
- 만성 이황화탄소 노출에 의한 망막 변화
- 각막육아종이 반복되는 스티븐스-존슨증후군 환자에서 무세포 보존 각막의 층판이식술 효과
- 후천제삼뇌신경마비의 임상양상과 자연경과
- 10세 이후 사시교정술을 받은 환자에서 사시 종류에 따른 수술 후 입체시 변화에 대한 고찰
-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 중 시행한 통상적인 눈물주머니 조직생검의 유용성
-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량적 견인회선검사
-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을 이용한 백내장수술 후 황반 모세혈관총 분석
- 코곁굴질환과 관련된 비성시신경병증의 임상양상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