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linical Characteristics of Rhinogenic Optic Neuropathy Associated with Paranasal Sinus Disease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추미영(Miyoung Chu) 박유연(Yooyeon Park) 신선영(Sun Young Shin) 박신혜(Shin Hae Park)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1,number11, 1348~1357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비성시신경병증(rhinogenic optic neuropathy)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안과적인 임상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시신경병증의 다른 원인이 배제되고 영상검사에서 안와 첨부나 시신경관에 인접한 나비굴과 후벌집굴에서 코곁굴병변이 관찰되며 이에 상응하는 시력저하나 시야결손이 확인되는 경우 비성시신경병증으로 진단하였다. 9명의 11안을 대상으로 증상 및 유병기간, 시력, 색각, 동공검사, 안저검사, 빛간섭단층촬영 및 시야검사의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수술 전후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코곁굴병변의 발생 위치는 후벌집굴 2안(18.2%), 나비굴 5안(45.5%), 후벌집굴과 나비굴이 함께 침범된 경우가 4안(36.4%)이었고 코곁굴염(6안, 54.5%)과 점액낭종(3안, 27.3%)이 주요한 관련 질환이었다. 최대교정시력은 9안에서 20/40 이상, 색각은 모든 안에서 정상이었고 상대구심동공운동장애는 단안이 이환되었던 3안에서 양성이었다. 중심옆암점이 3안(27.3%), 수직경선을 따르는 비측시야결손이 3안(27.3%), 활꼴암점이 2안(18.2%), 수평시야결손이 1안(9.1%)에서 확인되었다. 증상 발현 후 4주 이내 기간에 코곁굴수술을 시행 받았던 3명의 환자에서는 수술 후 시력 또는 시야가 정상으로 호전되었다.
결론: 시신경병증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시신경관에 인접한 나비굴이나 후벌집굴에 병변이 관찰되는 경우 시신경병증을 일으킨 원인으로서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비인후과와의 협진 및 코곁굴수술을 통해 시력저하 및 시야결손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We describe the clinical features of patients with rhinogenic optic neuropathy caused by paranasal sinus disease.
Methods: Nine patients (11 eyes) diagnosed with rhinogenic optic neuropathy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All exhibited sphenoid or posterior ethmoid sinus lesions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corresponding visual acuity or visual field defects.
Patients with other causes of optic neuropathy were excluded. We recorded symptoms and symptom durations, best-corrected visual acuity, relative afferent pupillary defects, color vision test results, fundus morphology, optical coherence tomographic data, and visual field test results before and after endoscopic sinus surgery.
Results: The involved sinuses were the sphenoid alone (five eyes), posterior ethmoid alone (two eyes), and both (four eyes).
The underlying sinus pathologies included six eyes with sinusitis and three with mucoceles. Th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exceeded 20/40 for nine eyes, the color vision test results were normal for all eyes, and relative afferent pupillary defects were noted in three eyes of unilaterally affected patients. The Humphrey visual field test revealed paracentral scotomas (three eyes, 27.3%), nasal defects related to the vertical meridian (three eyes, 27.3%), arcuate defects (two eyes, 18.2%), and a horizontal altitudinal defect (one eye, 9.1%). Six patients underwent endoscopic sinus surgery. Three patients who underwent early interventions (within 4 weeks of onset) experienced full visual recovery.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suspected optic neuropathy, a paranasal sinus lesion adjacent to the optic canal should be considered. Prompt diagnosis and early intervention (endoscopic sinus surgery) are recommended for patients with rhinogenic optic neuropathy to reduce the incidences of visual loss and visual field defects.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속발개방각녹내장과 유리체혼탁으로 발현된 가족성 아밀로이드 다발신경병증
- 양안 망막중심정맥폐쇄로 나타난 다카야스동맥염
- 에탐부톨 유발 독성 시신경병증과 동반된 철결핍성 빈혈에 의한 허혈시신경병증
-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환자에 대한 스피로놀락톤의 치료 효과 및 안전성
- 망막정맥폐쇄 황반부종에서 항혈관내피성장인자와 덱사메타손 삽입물의 2차원 정량적 단기 효과 비교
- 성인 코눈물관막힘에서의 눈물길미세내시경 실리콘관삽입술과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
- 라식수술 후 각막켈로이드의 국내 증례 1예
- 일차 열공망막박리에서 망막하액배액술의 동반 없이 시행한 공막돌륭술의 수술 결과
- 황반원공 망막박리로 나타난 베체트병
- 천공된 앞공막포도종 환자에서 무세포 보존 각막을 이용한 수복적 층판이식술
- 당뇨황반부종에서 0.1% 브롬페낙 점안액의 효과
- 전체각막곡률측정법과 표준각막곡률측정법을 이용한 인공수정체도수 예측의 정확도 비교
- 만성 이황화탄소 노출에 의한 망막 변화
- 각막육아종이 반복되는 스티븐스-존슨증후군 환자에서 무세포 보존 각막의 층판이식술 효과
- 후천제삼뇌신경마비의 임상양상과 자연경과
- 10세 이후 사시교정술을 받은 환자에서 사시 종류에 따른 수술 후 입체시 변화에 대한 고찰
-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 중 시행한 통상적인 눈물주머니 조직생검의 유용성
-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량적 견인회선검사
-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을 이용한 백내장수술 후 황반 모세혈관총 분석
- 코곁굴질환과 관련된 비성시신경병증의 임상양상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