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aning of Jongyong(從容) in the 『Huangdineijing』
- 발행기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
- 저자명
- 柳姃我(Lyu Jeong-ah)
- 간행물 정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33권 4호,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 : 『黃帝內經』에 쓰인 ‘從容’의 의미를 연구하여 ‘從容’의 의학적 의미와 효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Method : 中文 및 古典 문장에서의 용례를 먼저 고찰하고, 『黃帝內經』 중 ‘從容’이 나오는 雷公・黃帝 問答篇들의 공통점과 특징을 알아보았으며, 「示從容論篇」, 「著至敎論篇」, 「疏五過論篇」, 「徵四失論篇」, 「陰陽類論篇」, 「解精微論篇」 여섯 편의 전체적인 의미와 ‘從容’이 포함된 구절들의 상세한 의미를 연구하였다.
Result : 일반적으로 ‘從容’은 사람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자신의 본래 성품을 지녀 외부 상황에 적절하고 침착하게 대처하는 꿋꿋한 모습을 표현한 말이며, 그 자체로 사람의 행동거지를 뜻하기도 한다. 『黃帝內經』 중 ‘從容’은 고대 동아시아 임상의학의 대체・개요와 임상의학의 전수・교육 정황이 담겨 있는 雷公・黃帝 問答篇에만 나온다. 『黃帝內經』에서 ‘從容’은 첫째 比類의 확장(引比類), 둘째 醫者의 功이 많이 드는 醫事(人事), 셋째 形體의 상세한 陰陽 편차를 측량한다(刑法, 陰陽, 治數)는 의미를 가질 수 있었다.
Conclusion : 고대 동아시아 의학에서 ‘從容’은 五行歸類의 구분보다는 陰陽편차의 측량과 더욱 가까운 개념이며, 사람의 형체를 대상으로 그 모양, 용적, 길이, 넓이, 높이, 밀도 등등을 측량하고 숫자로 나타내어서 미묘한 차이도 비교하여 구분해낼 수 있는 의학적 행위로서, 임상에서 시범해 보이고 교육하고 전수해야 할 醫業의 존망이 달린 중요한 의사의 일이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utilitarian values of Jongyong(從容)’ in medicine by studying its meaning in the 『Huangdineijing』.
Methods : Examples of Jongyong(從容)’ usages in Chinese literature and classical texts were studied first. Next, the similarities and characteristics of its contexts in discourses between Leigong and Huangdi were examined, followed by further examination of the overall meanings of the six chapters, 「Shicongronglunpian(示從容論篇)」, 「Zhuzhijiaolunpian(著至敎論篇)」, 「Shuwuguolunpian(疏五過論篇)」, 「Zhengsishilunpian(徵四失論篇)」, 「Yinyangleilunpian(陰陽類論篇)」, 「Jiejingweilunpian(解精微論篇)」 and the verses that include Jongyong(從容).’
Results : Generally Jongyong(從容)’ describes a resilient attitude that responds appropriately and calmly to difficult external situations while maintaining one s character, or refers to one s general behavior. In the 『Huangdineijing』, Jongyong(從容)’ is only mentioned in discourses between Leigong and Huangdi, which talks about ancient East Asian clinical medicine in general, its transmission and education. Here, the meaning of Jongyong(從容)’ could be summarized as an expansion of analogical thinking[引比類], medical work that involves the physician s commitment(人事), and detailed measurement of yinyang difference in the body(刑法, 陰陽, 治數).
Discussion : In ancient East Asian medicine, the meaning of Jongyong(從容)’ is closer to measurement of the yinyang difference rather than differentiation of the five element analogy. It is a medical practice that measures the shape, volume, length, area, height, concentration etc. of the human body in numerical figures to allow for the most subtle comparison, which was an important aspect of the physician s work that needed to be demonstrated, educated and transmitted to later generations to enable continuity of the medical profession.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한의학분야 BEST
- 제왕절개 수술이 신생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장내 미생물을 중심으로
- 소아 화폐상 습진의 임상 특성과 통합적 치료 접근에 대한 고찰
- 영아 야제의 다빈도 한의 변증, 임상 증상 및 한의치료 분석 - 최근 5개년(2019-2024) 중의학 연구를 중심으로
의약학 > 한의학분야 NEW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8권 3호 목차
- 朝鮮에서 現代까지 韓醫學 敎育 變遷에 대한 역사적 의미 고찰과 전망: 原典 교육을 중심으로
- 한문의서의 한글번역 연구 - 더 나은 번역을 위한 對譯語 선정에 대하여 『온열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