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Won Bang(員方) Supplementation and Draining Method in the 『Huangdineijing』
- 발행기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
- 저자명
- 김종현(Kim Jong-hyun)(金鍾鉉)
- 간행물 정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33권 4호, 57~6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 : 본 연구는 『靈樞·官能』과 『素問·八正神明論』에서 상반되게 제시된 員方補瀉의 원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Method : 두 편의 원문을 분석하고 모난 것(方)과 둥근 것(員)의 의미와 부합하는 보사원리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특히 「八正神明論」의 경우 방과 원에 대한 추상적 설명과 구체적 수기법 사이의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는 가설을 세우고 원문과 역대의 주석을 통해 검증하는 방식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Result & Conclusion두 편에 사용된 方은 ‘方正하다’, 員은 ‘원활하다’는 의미를 공유한다. 차이점은 『靈樞·官能』의 員方은 시침자의 動靜이 기준이며, 『素問·八正神明論』에서 설명한 員方은 환자의 호흡이 기준이 된다. 또한 전자는 補瀉의 대상이 正氣와 外邪로 명확히 구분되는 반면, 후자는 正氣의 치우침으로 생겨난 虛實을 다스린다는 점에서 補瀉의 대상이 모두 正氣에 속한다. 이를 통해 자침의 보사가 正氣와 邪氣를 구분 짓는 방법과 정기의 인체 내 허실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구분됨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principle of the Won Bang supplementation and draining method as mentioned in the 『Lingshu·Guanneng』 and the 『Suwen·Bazhengshenminlun』, which have contrasting properties.
Methods : The texts in each chapter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supplementation and draining principle that matches the meanings of round[won,員] and angular[bang, 方].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chapter 「Bazhengshenminlun」, a hypothesis was drawn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stract explanation of the round[won,員] and angular[bang, 方] and the actual manipulation technique. This hypothesis was tested against other texts and annotations for further discussion.
Results & Conclusions : The expressions ‘bang[angular, 方]’ and ‘won[round,員]’ refer to the same meanings in both chapters, as ‘to be upright’ and ‘to be smooth,’ respective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hapters is that in the 『Lingshu·Guanneng』 the standard for Won Bang is the needler’s movements, while in the 『Suwen·Bazhengshenminlun』, it is the patient’s breathing. Moreover, while in the former the subjects of supplementation and draining are clearly divided into healthy qi and exterior pathogenic qi, in the latter the subject of manipulation is the deficiency and excessiveness caused by deviation of the healthy qi, thus making the subject of both supplementation and draining healthy qi. Based on these findings, we can conclude that the supplementation and draining of needling is divided into two methods; separating the healthy and pathogenic qi and manipulating the deficiency and excessiveness of healthy qi within the body.
목차
I. 緖論
II. 本論
Ⅲ. 考察
Ⅳ. 結論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한의학분야 BEST
- 제왕절개 수술이 신생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장내 미생물을 중심으로
- 소아 화폐상 습진의 임상 특성과 통합적 치료 접근에 대한 고찰
- 영아 야제의 다빈도 한의 변증, 임상 증상 및 한의치료 분석 - 최근 5개년(2019-2024) 중의학 연구를 중심으로
의약학 > 한의학분야 NEW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8권 3호 목차
- 朝鮮에서 現代까지 韓醫學 敎育 變遷에 대한 역사적 의미 고찰과 전망: 原典 교육을 중심으로
- 한문의서의 한글번역 연구 - 더 나은 번역을 위한 對譯語 선정에 대하여 『온열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