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Research on Automatic Data Extract Method of Pulse Descriptions Using the List of Pulse Terminology - Based on 『Euijongsonik』
- 발행기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
- 저자명
- 금유정(Keum Yujeong) 이병욱(Lee Byungwook) 엄동명(Eom Dongmyung) 송지청(Song Jichung)
- 간행물 정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33권 4호, 21~3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 : 한의서에 기재된 맥상표현은 맥상용어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조합의 맥상용어를 통해 병증을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한의사 또는 한의학 전문가들은 이러한 다양한 조합의 맥상표현에 대해 모두 파악하는 일은 불가능하며 개인적인 노력에 의해 한의서를 접하는 과정에서 단편적으로 맥상표현에 대한 지식을 접할수 있을 뿐이다Methods : 본 연구는 Microsoft社의 Window 10 환경에서 Microsoft Office 365의 Access를 사용해 진행하였다. 맥상표현 추출 대상 원문은 『醫宗損益』이다. 최종적으로 [맥상제외용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추출된 맥상표현을 정제하고자 하였다.
Results : 본연구를 진행할 때 PC환경은 Intel Core i7-1065G7 CPU 1.30GHz를 사용하였으며, RAM은 8GB를 사용하였고, Window 10 64비트 운영 체제를 사용하였다. 6,115개 문장에서 1차적으로 6,497개 맥상표현을 추출하였으며 정제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5,507개 맥상표현을 추출하였다.
Conclusion : 고문헌 의서가 프로그램이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파일로 존재한다는 가정하에서 본 연구방법을 통해 맥상을 나타내는 맥상표현 지식을 DB로 작성하는 방법이 연구자가 직접 작성하는 경우보다 시간적, 인적 자원의 절약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영문 초록
Objectives : Pulse descriptions in Korean Medical texts are comprised of combinations of pulse terminology, where various combinations of pulse terminology are used to describe disease symptoms. For Korean Medical doctors and professionals, however, it is impossible to identify the entirety of pulse description combinations, and their understanding is mostly limited to those learned from classical texts studied individually.
Method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by using Access of Microsoft Office 365 in Windows 10 of Microsoft. Pulse descriptions were extracted from the text, 『Euijongsonik』. In the final stages, the automatically extracted list of pulse descriptions was refined through [excluded terminology of pulse description].
Results : The PC environment of this research was Intel Core i7-1065G7 CPU 1.30GHz, with 8GB of RAM and a Windows 10 64bit operation system. Out of 6,115 verses 6,497 descriptions were primarily extracted, and after a refinement process, the final list contained 5,507 pulse descriptions.
Conclusions :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classical texts are available in data form to be processed by programs, current research methodology demonstrated that it was more efficient in regards to time and man power to create a pulse description database compared to when the researcher manually created on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본문
Ⅳ.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한의학분야 BEST
- 제왕절개 수술이 신생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장내 미생물을 중심으로
- 소아 화폐상 습진의 임상 특성과 통합적 치료 접근에 대한 고찰
- 영아 야제의 다빈도 한의 변증, 임상 증상 및 한의치료 분석 - 최근 5개년(2019-2024) 중의학 연구를 중심으로
의약학 > 한의학분야 NEW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8권 3호 목차
- 朝鮮에서 現代까지 韓醫學 敎育 變遷에 대한 역사적 의미 고찰과 전망: 原典 교육을 중심으로
- 한문의서의 한글번역 연구 - 더 나은 번역을 위한 對譯語 선정에 대하여 『온열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