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ung, Stomach and Kidney in 『Lingshu·Dongshu』 - Focused on the Contents in 『Huangdineijing』
- 발행기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
- 저자명
- 김도훈(Kim Do-Hoon)(金度勳) 안진희(Ahn Jinhee)(安鎭熹)
- 간행물 정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33권 4호, 167~18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s : 본 연구에서는 『靈樞·動輸』에서 手太陰, 足少陰, 足陽明의 脈만 홀로 뛰면서 쉬지 않는 것과 관련하여 肺, 胃, 腎의 상호 관계를 『黃帝內經』 여러 편의 내용들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Methods : 『靈樞·動輸』의 내용과 관련하여 『黃帝內經太素』, 『黃帝內經靈樞注證發微』, 『類經』, 『黃帝內經靈樞集注』, 『素問靈樞類纂約注』, 『靈樞懸解』, 『靈樞識』, 『靈素節注類編』 등을 주석을 참고하였으며, 『黃帝內經』 여러 편의 내용들을 함께 고찰하였다.
Results & Conclusions : 『靈樞動輸』의 내용 중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臟腑는 水穀을 받아들여 氣를 만들어 내고 그것을 전신으로 퍼뜨리는 足陽明의 胃라고 말할 수 있다. 胃로부터 생성 순환하는 氣의 흐름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호흡과 맥동의 리듬에 따라 전신으로 퍼뜨리기 위하여 宗氣가 胃로부터 생성되어 胸部로 올라가 쌓이고, 營氣도 水穀으로부터 생하여 中焦로부터 出하는데 역시 肺로 올라가서 宗氣의 힘에 의하여 전신을 순환한다. 또한 衛氣와 동일하지는 않으나 일부의 성질이 같은 氣가 머리 부위로 올라가 순환한다. 아래로는 先天의 元氣 또는 精氣와 관련된 足少陰으로 흘러들어가서 衝脈, 帶脈, 督脈 등 여러 奇經의 작용을 돕고, 足厥陰으로 연결되어 宗筋이 우리 몸의 관절과 筋이 원활하게 움직이도록 만들어준다. 특히 手太陰, 足陽明, 足少陰 세 經脈의 동맥처를 중시한 것은 이러한 氣街 이론을 바탕으로 우리 몸의 上中下 三焦에서 先天과 後天을 아우르는 모든 氣의 생성과 순환이 생명의 근본적인 율동을 의미하는 세 經脈의 脈動으로 드러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ungs, Stomach and Kidneys were examined in relation to their pulses continuously beating without rest as discussed in the 『Lingshu·Dongshu』, with other chapters in the 『Huangdineijing』.
Methods : Chapters in the 『Huangdineijing』 and annotations were referenced in relation to the contents in question of the 『Lingshu·Dongshu』.
Results & Conclusions : In 『Lingshu·Dongshu』, the Stomach of the Zuyangming is central. In the flow of Qi that is produced and circulated from the Stomach, we can see that Ancestral qi that is created in the Stomach ascends and accumulates in the chest area to disperse Qi throughout the entire body according to breathing and pulsation, while Nutrient qi exits from the middle energizer and ascends to the Lungs, circulates the entire body and Qi that is partially similar to Defense qi moves upwards to the head and circulates.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Qi flows to the Zushaoyin that is associated with Jing qi to assist with actions of the Extra meridians, while it connects to the Ancestral sinew through Zujueyin allowing for smooth movement of the muscles and joints. The special emphasis on the pulsation points of the three meridians, Shoutaiyin, Zuyangming and Zushaoyin, is based on the Qi thoroughfare[氣街] theory, where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all Qi in the upper, middle, and lower energizers of the body manifest as pulse movement of the three meridians, which are the fundamental rhythms and movements of life.
목차
Ⅰ. 序論
Ⅱ. 本論
Ⅲ. 考察
Ⅳ. 結論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한의학분야 BEST
- 제왕절개 수술이 신생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장내 미생물을 중심으로
- 소아 화폐상 습진의 임상 특성과 통합적 치료 접근에 대한 고찰
- 영아 야제의 다빈도 한의 변증, 임상 증상 및 한의치료 분석 - 최근 5개년(2019-2024) 중의학 연구를 중심으로
의약학 > 한의학분야 NEW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8권 3호 목차
- 朝鮮에서 現代까지 韓醫學 敎育 變遷에 대한 역사적 의미 고찰과 전망: 原典 교육을 중심으로
- 한문의서의 한글번역 연구 - 더 나은 번역을 위한 對譯語 선정에 대하여 『온열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