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면평가의 활용 방식에 따른 유형화 연구

이용수  513

영문명
Practical reconsideration of multi-source feedback: Typing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method of multi-source feedback
발행기관
한국인사행정학회
저자명
조태준 김상우
간행물 정보
『한국인사행정학회보』제19권 제3호, 211~23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다면평가는 기존 성과평가가 갖는 문제를 극복함으로써 평가의 체계성과 타당성 등을 강화할 수 있는 평 가방식이다. 즉, 다면평가의 도입을 통해 다양한 주체의 평가정보를 확보함으로써 평가의 효과성이 증대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다면평가의 규범적인 효과성을 강조함으로써 공공부문에 다면평가 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거나, 혹은 다면평가가 갖는 다각적인 효과성을 실증하는 데 관심을 두었다. 다면평가를 도입한 기관이 해당 제도의 도입을 통해 어떤 성과를 기대하는지, 그리고 도입된 목적 등을 고 려하여 다면평가가 실무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본 연구는 총 11개의 기관을 대상으로 다면평가의 도입 목적과 활용 방법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다면평가는 성과평가의 체계성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 외에도 조직이 당면한 다양한 인사 및 조직관리의 문제(ex: 평가의 공정성 제고, 조직 문화 개선 등)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공공부문의 실무에 서 활용이 가능한 일곱 가지의 다면평가 유형을 도출하였으며, 각 유형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Multi-source feedback is one of the evaluation methods that emphasize the valid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extant evaluation system. In using the evaluation information has been produced by multiple participants, the method has increased the validity of evaluation. The previous studies have maintained the usefulness of normative effectiveness of multi-source, as well as conducted empirical studie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evaluation method. Even though the extant literature has focused on the above issues, they have not been interested in the practical matters of multi-source feedback, including the expectations of institution that conduct the evaluation methods. Due to the limitations in the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conducts the in-depth interview which examines the purposes and practical approaches of multi-source feedback. The results note that the institutions have employed the method to overcome the organizational problems, such as the improvements of fairness of evaluation and organizational culture. Additionally, this study proposes the practical categorization of multi-source feedback to solve the previous problems of performance evaluation.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 및 현황분석
Ⅲ. 다면평가 운영의 사례분석: 인터뷰를 중심으로
Ⅳ. 다면평가의 유형화 필요성 제기
Ⅴ. 결론 및 토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태준,김상우. (2020).다면평가의 활용 방식에 따른 유형화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9 (3), 211-234

MLA

조태준,김상우. "다면평가의 활용 방식에 따른 유형화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9.3(2020): 211-2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