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복지 조직의 리더십유형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

이용수  490

영문명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the Leadership Styles of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ed on the Mediated Effects of the Social Capital
발행기관
한국인사행정학회
저자명
신부경 박종구
간행물 정보
『한국인사행정학회보』제19권 제3호, 187~20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리더십 이론은 인사조직 관리 분야에 있어서 조직원들이 목표달성을 하기 위한 방법으로 많은 학자들에게 연구 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 시설장의 리더십유형이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고객지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아울러 리더십유형이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을 갖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리더십유형의 하위차원인 서번트 리더십과 진성리더십의 독립변수들이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기 위해 전국의 사회복지사 372명을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먼저 리더십유형 요인들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이 모두 정(+)의 방향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적자본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도 모두 정(+)의 방향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리더십유형 요인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정(+)의 방향에서 유희하게 나타났으나 나머지 독립변수는 종속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간접효과 분석에서는 서번트 리더십이 사회적 자본을 경유하여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간접효과만 유의하지 못하였고 나머지 변수의 간접효과는 정(+)의 방향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theories of leadership in the area of the human resources management have been researched into by many scholars to help the organizational members conducive to the achievement of their organizational go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directors’ leadership styles on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and thereupon, analyze the mediated effects of the social capital in the process wherethrough their leadership styles would affect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372 social workers were sampled for the empirical survey designed to analyze the effects of servant leadership and authentic one on thei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leadership styles would affect the social capital positively. Moreover, the effects of the social capital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re all significantly positive. Furthermor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leadership styles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ervant leadership was found to affect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while the other independent variables would not affect the dependent variables significan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direct effects of the leadership styles, it was found that the servant leadership had no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via the social capital on social workers’ customer orientation, while the indirect effects of the other variables were significant positively.

목차

Ⅰ. 서론 및 문제제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실증 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부경,박종구. (2020).사회복지 조직의 리더십유형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9 (3), 187-209

MLA

신부경,박종구. "사회복지 조직의 리더십유형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9.3(2020): 187-2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