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상사물을 활용한 현대장신구 연구
이용수 284
- 영문명
- A Study on Contemporary Jewelry Utilizing Objects : Focused on a Shape Changing in an Expanded Space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공새롬(Kong, Sae-Rom) 임경수(Yim, Kyung-Soo)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3집 3권, 35~4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세기 이후 급속한 산업화로 셀 수도 없는 대량의 사물이 생산되고 소비되어 우리 주변에 넘쳐나기 시작했으며 공간, 장소, 시간에 상관없이 늘 어디에서나 쉽게 발견되기에 당연한 존재로 인식된다. 우리는 늘 같은 시각으로 사물을 코드화하여 바라보며 그것의 형태나 촉감 그리고 쓰임을 쉽게 추측하거나 예상할 수 있다. 반대로 관습적인 기존의 기능과 문맥에서 벗어나 사물을 바라보면 익숙하지만 생소한 물체로 느껴지게 된다. 그로 인해 많은 현대미술 작가들은 일상사물이 가지고 있는 현실성을 탈피하여 새로운 의미와 형태 변화를 주고자 하였으며 작가들의 주된 관심사가 되었다. 이는 현대장신구 분야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많은 현대장신구 작가들은 기존의 값비싼 장신구가 가지고 있는 재료의 한계점에서 벗어나 일상사물을 사용함으로써 확장된 표현 영역과 재료 영역에 새로운 시도를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일상성이 있는 평범한 사물을 본래의 형태, 기능, 의미 등 현실적인 문맥에서 탈피하여 일상 공간에서 전시 공간이나 신체 공간으로 옮겨져 가지고 있던 일상성과 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예술 작품으로 표현되는 사례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앞으로 장신구의 조형적, 재료적 영역을 다양하게 넓히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Since the 20th century, rapid industrialization has enabled the mass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countless objects, which surround people s daily lives. The surrounding objects are nearly unperceivable as they are naturally assimilated in people s everyday lives, regardless of space, location, or time. We always look at things by coding them. It is easy to guess or predict its form, touch, and usage. But, if we once look at the objects in the different context from the conventional one, we can feel them as the familiar and the unfamiliar at the same time. In this regard, many contemporary artists have tried to pick things from their ordinary context, give them the new meanings. It became their primary concern. This is also the case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jewelry. By using daily objects, artists tried to break free from the limitations that high-priced jewelry materials had and explore the new areas of expanded expression and materials.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examples of the work of an art which are transferred from the daily routine and the ordinary space to the new regions, that is, the exhibition space and the human body space. In doing so,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be a help to expand the formative and material ranges of jewelry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Ⅱ. 일상사물에 대한 개념적 고찰
Ⅲ. 현대미술에서 재료로 활용된 일상사물
Ⅳ. 현대장신구에서 재료로 활용된 일상사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현대 패션에 나타난 디지털 커스터마이징 유형 및 특징 연구
- 아키오 타카모리(Akio Takamori) 작품에 나타난 정체성에 대한 연구
- 주얼리 구매 시 이미지기반 SNS 정보특성, 정보태도, 구매의도 간의 영향 관계에 관한 연구
- 현대 건축유리조형의 경향
- 동시대 미술에 나타나는 비정형 신체 이미지의 차용표현 연구
- 해체와 재구성 그리고 증식을 표현한 조형 연구
- 오토 퀸즐리(Otto Künzli)의 장신구에 대한 연구
- Goryeo Celadon as Antique-ness: The Identity of Korean Celadon During Japanese Imperialism
- 문자를 활용한 현대도예의 표현 특성 연구
- 스완요(石湾窑)의 도자 유약 연구
- 제주조랑말 문화상품 디자인개발에 관한 연구
- 아세안(ASEAN) 지역문화 연구
- 일상사물을 활용한 현대장신구 연구
- 혜택 기반의 기술수용모형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25년 춘계학술대회 목차
- 요식업 점주의 컨텍스트 정보 수집 및 예측을 통한 매장관리 서비스 - 배달 플랫폼을 중심으로
- AI를 통한 캐릭터 생성에 필요한 캐릭터의 Uniqueness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