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Stimulus Presentation Method on Discourse Comprehension in Healthy Elderly Adult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송제호(JeHo Song) 최현주(Hyunjoo Choi)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5. no.3, 640~650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노인의 담화이해 능력은 자극제시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담화의 자극제시 방법에 따른 담화이해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 담화 자극제시 방법의 효과가 사실적 정보나 추론과 같은 질문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일반 노인 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담화 과제는 이야기를 듣고 질문에 답하는 회상과제를 사용하였으며, 1회 제시, 반복 제시, 그림 병행의 자극제시 방법을 사용하였다. 질문유형은 사실적 정보이해, 텍스트 연결추론 및 빠진 정보추론으로 구성하였다. 결과: 첫째, 담화의 반복 제시, 그림 병행 방법 모두 1회 제시에 비해 담화이해 점수가 높았으며, 반복 제시, 그림 병행 사이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실적 정보이해의 경우 반복에서의 수행이 가장 높은 반면, 텍스트 연결추론의 경우 그림 병행의 수행이 가장 높았다. 셋째, 빠진 정보추론의 경우 자극제시 방법에 따른 담화이해 능력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는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담화의 표면적인 정보이해 향상을 위해서는 담화를 반복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며, 텍스트 사이의 연결 및 통합을 위한 논리적 추론의 향상을 위해서는 시각적인 자료를 병행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Although the ability of discourse comprehension in the elderly may vary depending on the method of stimulus presentation, relevant research into this topic is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ability of discourse comprehension in healthy elderly adults according to the discourse stimulus presentation method,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effects of the discourse stimulus presentation method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question type; for example literal information or inference. Methods: Forty-eight healthy elderly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ability of discourse comprehension, a recall task was used to listen to the story and answer the questions. As methods of presenting discourse stimulus, telling a story once, telling it twice, and presenting it with a picture were used. The question types consisted of the literal information (LI), text-connecting inference (TC) and gap-filling inference (GF) types. Results: First, the discourse comprehension scores were higher in telling a story twice and presenting it with a picture than in telling a story once. Second, performance of LI was the highest in telling a story twice, while performance of TC was the highest in presenting story with a picture. Third, in the case of GF, the difference in ability of discourse comprehension according to the stimulus presentation method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present the discourse repeatedly to improve the superficial comprehension of discourse for the healthy elderly, and visual stimulus to improve logical reasoning for connection and integration between text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어휘전환과제 수행에 의미점화가 미치는 영향
- 철자 쓰기 부진 아동과 일반 아동의 철자 쓰기 발달 특성
- 딥러닝-워드임베딩을 기반으로 한 말더듬 대상자의 읽기과제 비유창성 분석
- 자극제시 방법이 노인의 담화이해에 미치는 영향
- 말소리장애 유무에 따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음운처리능력 비교 연구
- 의미역 명사 유형에 따른 실어증 환자의 조사 산출 능력
- Discriminant Analysis of Assessment Tools in Identifying Language Impairment in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 발달성 난독증 진단
- 물저항 치료를 이용한 다계통위축증의 환자의 마비말장애 치료 효과
- 한국 아동 말더듬 검사(KOCS) 표준화 연구
- Quick Incidental Learning of Words by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 Eye-tracking Study
- 취학전 아동의 낱말 읽기 및 낱말 쓰기 설명요인
- Characteristics of Conversation in Patients with Right Hemisphere Damage
- 음성장애의 성대접촉 양상에 따른 모음연장발성과 연속발화의 음향학적 및 청지각적 평가 비교
- 언어치료사의 언어표본(자발화) 분석에 대한 인식 및 활용 실태
- Determining Language Production Abilities in Indian Adolescents between 10 and 16 Years of Age: Using a Conversational based Task
- Production Accuracy of English and Korean Consonant and Vowel Categories in 3-year-old Simultaneous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in the U.S.
- A Study on the Korean-Version of the Youth Attitudes toward Noise Scale
- 명사구 수식언 유무 및 위치에 따른 비전형적 구문구조 산출률에서 청년층과 노년층 집단 간 차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