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reatment Efficacy of Dysarthria in Patients with Multiple System Atrophy using Water Resistance Therapy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채혜림(Hye-Rim Chae) 최성희(Seong Hee Choi) 최철희(Chul-Hee Choi)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5. no.3, 750~763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다계통위축증은 비정형 파킨슨 증후군으로 실조형과 경직형 및 과소 운동형의 혼합형 마비말장애이며, 호흡, 발성, 공명 및 조음에 영향을 준다. 하지만, 아직까지 다계통위축증 말치료에 대한 중재법이 매우 제한적이며 연구마다 치료 효과가 상이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총체적 음성치료기법인 물저항 치료를 사용하여 다계통위축증 환자의 마비말장애 치료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실조형 다계통위축증으로 진단받은 총 9명(남자 5명, 여자 4명)을 대상으로 물저항 치료를 주 1회 간격으로 6주간 총 6회 실시하였다. 치료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치료 전후 공기역학적 및 음향학적, 청지각적 파라미터를 측정하였으며, 질병 진행 기간에 따른 치료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발병 후 4년 미만과 4년 이상 집단의 측정치를 비교하였다. 결과: 치료 후 공기역학적, 음향학적 및 청지각적 평가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공기역학적 평가 결과, 폐활량, 최대발성지속시간, 호기량이 증가하고 성문하압이 감소하였다. 음향학적 평가 결과, Jitt, PPQ, sPPQ, vF0, Shim, APQ, sAPQ, vAm, STD, NHR, σCPP, σL/H ratio가 감소하고 CPP, L/H ratio가 증가하였다. 청지각적 평가에서는 거친 음성과 긴장되 쥐어짜는 음성, 음도 변이, 음성진전, 음소 연장, 말명료도가 개선되었다. 또한, 발병 초기 그룹은 sAPQ, vAm, σCPP, 발병 후기 그룹은 APQ가 통계적으로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논의 및 결론: 물저항 치료 후 다계통위축증 환자의 호흡, 발성, 공명 및 조음 개선에 유의하게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물저항 치료는 다계통위축증 환자의 효과적인 마비말장애 치료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Multiple System Atrophy (MSA) is atypical parkinsonian syndrome (APS) affecting respiration, phonation, resonance, and articulation, which is characterized by a mixed type of dysarthria involving hypokinetic, ataxic and spastic. However, there are still very limited speech interventions for MSA, and these demonstrate contrasting ef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water resistance therapy (WRT) of dysarthria in patients with multiple system atrophy. Methods: A total of 9 patients with MSA-C (cerebellar type) (5 males and 4 females) underwent WRT once per week for 6 weeks. Aerodynamic, acoustic, and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voice therapy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WRT. In addition, outcomes were compared based on disease duration (less than 4 years and more than 4 years), before and after therapy. Results: Significant improvement in aerodynamic, acoustic, and auditory - perceptual evaluation was found following WRT. After therapy, in aerodynamic analysis, increased VC, MPT and reduced Psub were observed.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also observed for CPP, L/H ratio and reduced Jitt, PPQ, sPPQ, vF0, Shim, APQ, sAPQ, vAm, STD, NHR, σCPP, and σL/H ratio. In addition, in auditory-perceptual analysis, harsh voice, strained-strangled voice, pitch fluctuations, vocal tremor, prolonged phonemes, and speech intelligibility were improved. Moreover, significantly reduced sAPQ, vAm & σCPP were seen in the less than 4-year group, while significant improvement in APQ was observed in the more than 4-year group. Conclusion: Accordingly,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were found in respiration, phonation, and articulation changes following WRT for patients with MSA. WRT may be useful speech therapy for improving dysarthria in patients with MSA.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어휘전환과제 수행에 의미점화가 미치는 영향
- 철자 쓰기 부진 아동과 일반 아동의 철자 쓰기 발달 특성
- 딥러닝-워드임베딩을 기반으로 한 말더듬 대상자의 읽기과제 비유창성 분석
- 자극제시 방법이 노인의 담화이해에 미치는 영향
- 말소리장애 유무에 따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음운처리능력 비교 연구
- 의미역 명사 유형에 따른 실어증 환자의 조사 산출 능력
- Discriminant Analysis of Assessment Tools in Identifying Language Impairment in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 발달성 난독증 진단
- 물저항 치료를 이용한 다계통위축증의 환자의 마비말장애 치료 효과
- 한국 아동 말더듬 검사(KOCS) 표준화 연구
- Quick Incidental Learning of Words by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 Eye-tracking Study
- 취학전 아동의 낱말 읽기 및 낱말 쓰기 설명요인
- Characteristics of Conversation in Patients with Right Hemisphere Damage
- 음성장애의 성대접촉 양상에 따른 모음연장발성과 연속발화의 음향학적 및 청지각적 평가 비교
- 언어치료사의 언어표본(자발화) 분석에 대한 인식 및 활용 실태
- Determining Language Production Abilities in Indian Adolescents between 10 and 16 Years of Age: Using a Conversational based Task
- Production Accuracy of English and Korean Consonant and Vowel Categories in 3-year-old Simultaneous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in the U.S.
- A Study on the Korean-Version of the Youth Attitudes toward Noise Scale
- 명사구 수식언 유무 및 위치에 따른 비전형적 구문구조 산출률에서 청년층과 노년층 집단 간 차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