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董其昌의 書藝觀
이용수 97
- 영문명
- Dong Qi-chnag’s view of calligraphy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서희연(Sur Heui Yeon)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37호, 175~20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董其昌의 書藝觀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에 대한 평가는 많은 논란이 있지만, 중국 미술사에서 독보적인 위치에 있다. 그의 書藝의 영향력은 강희제 때 최고조에 달했으며 예술가들로부터 많은 찬양을 받았다.
그는 禪宗 南宗의 사고방식을 예술방면에 창조적으로 용용·적용했으며 선종의 이치를 빌려와 以禪喩書로 서예를 설명했다.
董其昌의 書藝觀은 臨摹古人과 熟後能生으로 나눌 수 있다. 董其昌은 법고를 중시했으며 임고는 그의 예술관에서 빠트릴 수 없다. 또한, 그는 熟後能生을 주장했는데 이것은 그의 예술 사상의 종지인 平淡과 일맥상통한다. 董其昌은 임모를 통해 서예의 기교와 법도에 熟해진 다음 법도를 허공에 던지고 任自然의 자세로 진정한 나를 담아내는 예술 경지를 표현하고자 했다.
董其昌의 대표적인 작품에서 살펴보면 그는 晉韻·唐法·宋意을 배우고자 했다. 그의 書藝는 平淡天眞과 古淡蕭散을 추구하며 用墨, 用筆, 章法에 의해 자연스럽게 구현되었다. 董其昌 書藝觀의 연구를 통해 그의 서예관의 함축성을 재인식하게 되고 오늘날 서예 연구에 이론적 뒷받침을 제공해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focused on analyzing Dong Qi chang(董其昌)’s aesthetic view of calligraphy. He was proficient in Zen and the spirit of Zen was well embodied in the realm of calligraphy. Influence of his calligraphy reached the highest state at the period of Emperor Kang-xi. His arts combine his artistic personality with his special background of the times. I divided the. Dong Qi chang’s aesthetic view of calligraphy into imitative copy in East Asian art and birth and maturity. And take a look at how it was reflected in his representative art works. Dong Qi-chang’s calligraphy went into the Jin and Tang Dynasties, and his calligraphy style is ethereal and his innocence is plain. The quiet, fresh and plain mood of his work is embodied naturally and fully through the ink form. He was still in the pursuit of the ancient artistic cultivation and his outstanding artistic achievements were not only different from other artists’, but also were praised by other artists highly.
After studying the aesthetic viewpoint of Dong Qichang’s calligraphy,on the one hand, it helps us to re-recognize the connotation of its aesthetic point of view and improve the aesthetics of calligraphers. On the other hand, it also deepens our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calligraphy learning and provides theoretical support for the study of calligraphy in modern books.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董其昌 禪心이 담긴 書藝觀
Ⅲ. 董其昌 禪心이 담긴 書藝作品
Ⅳ. 나가는 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예 걸개양식(簇子)의 기원 및 가치
- 통일신라 <高仙寺誓幢和尙碑>의 서체 고찰
- 아계(鵝溪) 이산해(李山海)의 초서 고찰
- 목은 이색의 시문에 나타난 서예관 고찰
- 書體분석을 통한 蒼巖서예 考察
- 儒家 道統論의 書畵 적용에 관한 연구
- 백제 서예의 대외 교섭
- 대학교양과목 “생활서예”에서 발견한 붓 편지의 효용성
- 董其昌의 書藝觀
- 근대 이전 작호(作號) 방식과 의미 연구
- 제백석(齊白石) 회화구성 중 전각적(篆刻的) 요소 고찰
- ‘頑民不事二君’ 석촌 윤용구의 금석문 연구
- 밀양 영남루 현판들의 서예미와 문화적 특성
- 書論에 나타난 美育的 要素에 관한 小考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