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교양과목 “생활서예”에서 발견한 붓 편지의 효용성
이용수 63
- 영문명
- The Effect of Brush Letter discovered in the “Living Calligraphy”, the General Course in the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김수천(Kim, Su-chon)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37호, 375~40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습자중심교육은 최근 혁신교육의 가치를 인정받아 국내외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그동안 주입식교육과 암기식교육의 폐단을 시정하고 학생들의 잠재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고안된 학습방법으로 교육선진국을 중심으로 점점 확장되고 있는 추세다. 서예교육은 아직까지 학습자중심교육의 개념이 낯설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중심교육으로 설계된 “생활서예”를 소개함으로서 이 교육이 지닌 가치와 의미를 밝혔다. 수업의 전체적인 의미에 대해서는 이미 두 편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므로 여기에서는 “생활서예” 프로그램중에서 학생들이 가장 큰 관심을 모았던 ‘붓 편지’ 프로그램을 고찰하면서 본 수업이 학생들의 인성교육과 ‘붓 편지의 효용성’적인 측면에서 어떠한 가치가 있는지에 대해 다양한 측면으로 분석했다.
영문 초록
Learner-centered education is receiving attention at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by its recognized value of the innovative education. It is a leaning method to rectify the negative effect of cramming education and rote learning and increase the potential capability of the students and it is gradually expanding. Calligraphy education is unfamiliar to learner-centered education concept. So, the value and meaning of this education is discovered by introducing “Living calligraphy” designed as learner-centered education in this study. Two theses were already published for overall meaning of the class, so, consider about the ‘Brush letter’ program which was mostly engaged students’ attention among the “Living calligraphy” program and analyzed which value this class has in terms of personality education of the students in various aspects in this study.
목차
Ⅰ. 머리말
Ⅱ. 생활서예 수업의 설계
Ⅲ. 붓 편지의 연구배경과 방법
Ⅳ. 붓 편지의 내용과 의미분석
Ⅴ. 붓 편지의 효용성
Ⅵ.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예 걸개양식(簇子)의 기원 및 가치
- 통일신라 <高仙寺誓幢和尙碑>의 서체 고찰
- 아계(鵝溪) 이산해(李山海)의 초서 고찰
- 목은 이색의 시문에 나타난 서예관 고찰
- 書體분석을 통한 蒼巖서예 考察
- 儒家 道統論의 書畵 적용에 관한 연구
- 백제 서예의 대외 교섭
- 대학교양과목 “생활서예”에서 발견한 붓 편지의 효용성
- 董其昌의 書藝觀
- 근대 이전 작호(作號) 방식과 의미 연구
- 제백석(齊白石) 회화구성 중 전각적(篆刻的) 요소 고찰
- ‘頑民不事二君’ 석촌 윤용구의 금석문 연구
- 밀양 영남루 현판들의 서예미와 문화적 특성
- 書論에 나타난 美育的 要素에 관한 小考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