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치 웹사이트의 아웃링크 데이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분석
이용수 11
- 영문명
- Outlink analysis of political websites in South Korea: 16th National Assemblymen s websites
- 발행기관
- 한국자료분석학회
- 저자명
- 박한우(Han Woo Park)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6 No.4, 1109~112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통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8.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6대 국회의원 웹사이트에 포함된 아웃링크 데이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한다. 이것은 인터넷에서 발생하는 하이퍼링크 데이터를 이용해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는 일련의 절차를 제시하고 나아가, 정치 행위자들의 인터넷 커뮤니케이션의 의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의의가 있다. 분석자료는 2003년 6월 동안에 16대 국회의원 웹사이트를 직접 방문하여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회의원들은 정당, 국회, 지방정부, 중앙정부. 시민단체, 오프라인 신문사, 오프라인 방송사의 순서로 아웃링크를 많이 설정하고 있었다. 요약하면, 국회의원 웹사이트의 아웃링킹 행위는 자신의 정치적 신념이나 이데올로기적 지향을 드러내기보다, 중립적인 컨텐츠의 제공과 함께 방문자들이 정보를 좀 더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항해적(navigational) 하이퍼링킹에 가까웠다.
영문 초록
With the increasing use of the Internet among the public, politicians make use of the Web as a tool for facilitating a contact with their constituents and supporters. A web link can be seen as potential new channel of political networking in achieving public recognition and serving as social symbols or signs of mutual cooper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communicative agendas of politicians as represented in their web outlinking practices. Incoming links refers to the links a website receives from the other sites, while outlinks are the links originating from a site. Since outlinks are initiated and modified by actors who produce websites, outlinking practice may reflect their communication choices and agendas.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homepages of South Korea s National Assemblymen for June 2003. Outlink data were put into a 2-mode matrix in which rows represent types of outlinking Assemblymen s sites and columns, outlinked political sites. Types of political sites wer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political parties, government agencies, legislative bodies, press organizations, civic & advocacy groups. Several analysis techniques such as hyperlink network analysis were employed. Some of preliminary findings are as follows: There was more content navigation/relevance-based linking practice than self-expressive/ideological. Assemblymen s websites were least hyperlinked to civic & advocacy groups among other categories. Assemblymen showed their weak ties with unofficial research group and parliamentary committee. There was more outlinking to the websites of the existing press organizations than to those of independent online presses, except for magazine.
목차
1. 서론
2. 분석방법
3. 분석결과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등학교 검정교과서 실용수학의 생활통계 단원에 대한 비교 연구
- 외환위기 전후 한국기업의 자본구조와 그 결정요인의 변화
- 정치 웹사이트의 아웃링크 데이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분석
- 퍼지이론의 통계적 응용을 위한 교과목 연구
- 한국선물시장의 수익률과 변동성에 대한 장기기억 특성
- 와이블 수명분포를 갖는 원형 연속 k-중-r: F 시스템의 신뢰도 추정에 관한 비교연구
- 센텀시티 UEC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Census 자료에 의한 국내인구이동
- 월경통에 대한 통계적 측도의 개발에 관한 연구
- The Confidence Intervals for the Variances Ratio
- GIS를 이용한 국내 유통 할인점에 대한 공간분석
- Bayes Estimation of the Stress-Strength Model Reliability When the Mean Strength Is Greater Than the Mean Stress
- 개인화를 위한 추천시스템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A Bayesian Method for Gene Selection in the Weibull Survival Model with Application to DNA Microarray Data
- Robust Least Squares Support Vector Machine
- On the Availability of Mobile Phone Survey
- Comparative Studies of the Reliability Estimation for a Circular Consecutive-r-out-of-k:F System with Rayleigh Lifetime Distribution
- AHP 자료분석 기법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영상컨텐츠 산업육성 전략
-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한 채택확률모형
- DNA Microarray 발현정보에 대한 고찰 및 통계적 분석방법 소개
- 정규혼합모형의 대용량자료 적합을 위한 일반화 Incremental EM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
- System Reliability from Common Random Stress in a Type II Bivariate Pareto Model with Random Censored Data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BEST
- 의사결정나무 분석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탐색
- 대학 재학생들의 중도탈락 패턴 분석 및 이탈 예측: H 대학교를 중심으로
- 가정 내 아동학대 행위자 특성에 따른 유형분류: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중심으로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NEW
- 생애주기별 경제문제와 결혼생활 평가가 결혼 만족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시간 흐름에 따른 정서 편향의 변화: 반응시간과 표류 확산 모델을 활용한 분석
- PLAS 기반 커뮤니티 텍스트 분석: 정치적 성향에 따른 언어 및 심리 특성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