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기모형에서 효율적인 가동기간의 기대값 산출 방법에 관한 연구
이용수 4
- 영문명
- A Study Caculating Method of Effective Expected Busy Period in a Queueing Model
- 발행기관
- 한국자료분석학회
- 저자명
- 송민구(Min Koo Song) 박정기(Jung Ki Park)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3 No.2, 133~14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통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이변수 Min(N,T)운용방침 하에서 작동되는 조정 가능한 M/G/1 대기행렬 모형을 연구한다. 대기행렬 시스템에서 서버는 시스템 내에 고객이 한 명도 없을 때 다른 임무를 수행하도록 시스템으로부터 이동된다. 그리고 이동된 서버는 첫 번째 단위 시점 또는 서버로 이동한 후 경과되는 T 단위시점에 대해서 어느 쪽이 우선이든지 간에 시스템 내에 고객의수가 N에 도달하면 재개된다.
활성화와 서버이동 사이의 차기 단계 기간에 대응하는 가동기간의 기대값은 다양한 분석적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왜냐하면 다양한 분야의 결과를 적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체의 복잡성 때문에 의사결정변수의 최적값을 결정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써, 본 연구에서는 가동기간의 기대값을 수치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단순관계 모형을 개발한다. 이 모형은 시스템운영에서 단위시간당 총 기대비용을 최소화하는 최적운영방침을 유도하기 위한 가능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많은 분야에 손쉽게 적용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a controllable M / G / 1 queuing model operating under the dyadic Min ( N, T ) policy is considered. In such a queueing systems, a server is removed from the system to perform other tasks when there are no customers in the system. Then, the removed server is reactivated immediately after the number of customers in the system reaches N for the first time or T time units elapse after removal of the server, whichever comes first. The expected busy period, which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time between an activation and the next removal of the server, has been derived analytically by various ways. Since it is very difficult to apply the result to various areas and to determine the optimal values of decision variables because of its complexities.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such problems, the expected busy period is analyzed numerically in this study. For this purpose, a simple relationship model to compute the expected busy period is developed. This model could then be applied to many areas easily as well as to provide possibilities for derivation of the optimal operating policy which minimizes the total expected cost per unit time in system operations.
목차
1. 서론
2. 조정 가능한 대기모형
3. 조정 가능한 대기모형의 분석
4. 조정 가능한 대기모형의 가동기간
5. E [ B Min ( N, T ) ]의 수치적 분석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최적 이면교배계획의 구성
- 변이계수를 이용하는 정규모집단의 척도모수 추정에 대한 비교연구
- 퍼지 시계열 모형 연구
- Wilcoxon Signed Rank Test Using Ranked Ordering-Set Sampling
-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한 산업인구 예측 통계 모형에 관한 연구
- 기초체력지수와 사상체질간의 연관성 연구
- 다변량 층화랜덤추출의 비추정의 경우 최적배분
- 동아시아 지역의 인위적 기후변화 신호검출
- 수리 가능한 시스템의 수명과 고장횟수의 모형화를 위한 이질적 환경효과
- 대기모형에서 효율적인 가동기간의 기대값 산출 방법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BEST
- 마취간호 교육프로그램이 회복마취간호사의 잡크래프팅, 임파워먼트, 직무열의에 미치는 효과
- 국내 OTT 서비스 산업 현황 및 수요 분석
- 네트워크 텍스트분석을 통한 치매대상자 인간중심돌봄 연구 경향 분석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NEW
- 과수 생장정보와 기상정보를 이용한 ‘신고’ 배나무의 수액 흐름 예측 모형 개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Vol.27 No.2 Contents
- Identifying Faking Profiles of Job Applicants Using Overclaiming and Social Desirability Scal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