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과수 생장정보와 기상정보를 이용한 ‘신고’ 배나무의 수액 흐름 예측 모형 개발

이용수  0

영문명
Development of a Sap Flow Prediction Model for 'Shingo' Pear Trees Using Growth and Meteorological Information
발행기관
한국자료분석학회
저자명
최원기(Won Gi Choi) 김동언(Dong-Eon Kim) 이상현(Sang Hyun Lee) 김민수(Min Soo Kim)
간행물 정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27 No.2, 385~399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통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나무의 생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수액 흐름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모든 농가에서 수액 흐름을 측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수액 흐름을 예측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들이 있었지만 대부분 기상정보 외에도 구하기 어려운 정보를 이용한 연구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농가에서 구하기 쉬운 기상 변수, 시민박명시간을 이용한 변수와 DAFB(Days After Full Bloom)만을 이용하여 ‘신고’ 배나무의 수액 흐름을 예측하는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비선형관계인 수액 흐름과 기상 변수간의 시간 지연 효과를 고려하기 위해 시차별 스피어만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고 일사량의 경우 4시차 전의 계수가 최대 계수임이 나타났다. 수액 흐름 예측 모형으로는 머신러닝 모형인 Random Froest, XGBoost를 사용하였고 딥러닝 모형인 LSTM, GRU, BiLSTM, CNN-GRU-BiLSTM 모형을 사용하여 수액 흐름을 예측하였다. 그 결과, 모든 모형에서 R² 값이 0.94 이상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제안한 변수만을 이용하여 수액 흐름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CNN-GRU-BiLSTM 모형이 MAE 225.4, RMSE 427.6, R² 0.9550으로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으며 우리나라와 같이 계절성을 가지며 국지적 기후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환경에서 CNN-GRU-BiLSTM 모형이 수액 흐름 예측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으며 이를 통해 우리나라 농가에 데이터에 기반한 관수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Understanding sap flow is crucial for comprehending tree growth. However, it is impractical for all farms to directly measure sap flow. Although many studies have attempted to predict sap flow, most of them have relied on hard-to-obtain data in addition to weather information.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model for predicting sap flow in ‘Shingo’ pear trees using only easily accessible weather variables, civil twilight time, and DAFB (Days After Full Bloom). Additionally, to account for the time-lag effect in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sap flow and weather variables, we performed lagged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For solar radia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found to peak at a 4-hour lag. For the sap flow prediction model, we used machine learning models such as Random Forest and XGBoost, as well as deep learning models including LSTM, GRU, BiLSTM, and a hybrid CNN-GRU-BiLSTM model. All models achieved R² values above 0.94, demonstrating that sap flow prediction is feasible using only the proposed variables. In particular, the CNN-GRU-BiLSTM model performed the best with an MAE of 225.4, RMSE of 427.6, and R² of 0.9550. We concluded that the CNN-GRU-BiLSTM model is well-suited for predicting sap flow in environments with seasonal and localized climate phenomena, such as in South Korea. Through this, we expect to provide a data-driven irrigation standard to farms across the country.

목차

1. 서론
2. 분석 데이터
3. 연구방법론
4. 분석 결과
5.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원기(Won Gi Choi),김동언(Dong-Eon Kim),이상현(Sang Hyun Lee),김민수(Min Soo Kim). (2025).과수 생장정보와 기상정보를 이용한 ‘신고’ 배나무의 수액 흐름 예측 모형 개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27 (2), 385-399

MLA

최원기(Won Gi Choi),김동언(Dong-Eon Kim),이상현(Sang Hyun Lee),김민수(Min Soo Kim). "과수 생장정보와 기상정보를 이용한 ‘신고’ 배나무의 수액 흐름 예측 모형 개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27.2(2025): 385-3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