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anesthesia nursing education programs in PACU nurses on job crafting, empowerment, and job enthusiasm
- 발행기관
- 한국자료분석학회
- 저자명
- 유제복(Je Bog Yoo) 인우영(Woo Young In) 김애숙(Ae Sook Kim) 표창옥(Chang Ok Pyo) 권정희(Jeung Hee Kwon) 유현숙(Hyun Sook Yoo) 이민지(Min Ji Lee)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26 No.3, 889~90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통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온라인 마취간호 교육프로그램이 회복마취간호사의 잡크래프팅, 임파워먼트, 직무열의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전국의 회복마취간호사 54명을 대상으로 Donabedian(1980)모델을 토대로 개발한 온라인 마취간호 교육프로그램으로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 연구이다. 전문가 집단을 통해 교육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마취통증의학과 교수, 마취 및 회복 간호 강사의 강의와 회복마취간호사의 온라인 참여를 기반으로 1일 4시간 2모듈 교육을 실시간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량과 Chi-squre test, t-test, Sharpiro-Will 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마취회복간호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의 잡크래프팅(F=5.26, p=.026), 임파워먼트(F=5.67, p=.02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실무현장에서 일하는 회복마취간호사들은 마취간호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실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업무를 개념화와 직무를 완성하고 이를 토대로 실무현장에 필요한 다양한 마취간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제언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online anesthesia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recovery anesthesia nurses on job crafting, empowerment, and job enthusias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data collected from 54 nurses working on anesthesia across the country. This study is an online anesthesia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recovery anesthesia nurses nationwide, developed based on the Dunavedian (1980) model, and is a design study before and after an equivalent control group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validity of the education program was verified through an expert group, and education was applied in real-time for 4 hours and 2 times a day based on lectures by professors of anesthesia pain medicine and anesthesia nursing instructors and online participation of recovery anesthesia nurses. The collected data used technical statistics, Chi-squre test, t-test, Sharpiro-Will test, and ANOVA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 of the study,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online anesthesia nursing education program's job crafting (F=5.26, p=0.026), and empowerment (F=5.67, p=0.021). Recovery and anesthesia nurses working in clinical settings can conceptualize and complete tasks to enhance their practical abilities through anesthesia nursing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is, it is suggested to develop and implement various anesthesia nursing education programs required in clinical settings.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감염병 발생에 대한 연령별 무질서도 및 다차원척도 분석
- 갯벌의 보존 가치에 대한 분석
- An empirical study on anti-corruption efforts and tax avoidance: Evidence from Mongolia
- 스키장 마케팅믹스 6P 요인이 참여만족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신임경찰관 교육 개선방안 연구
- 밈코인의 트위터 활동에 대한 연구
- 어린이 애니메이션 비디오 페이싱
- 재난피해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Vol.26 No.3 목차
- 층화 조건부 양적속성 무관질문모형
- 경영 효율성 측정 및 영향요인 분석: 34개 지방의료원을 중심으로
- 결합과 균형의 양면리더십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와 향상과 예방초점의 조절효과
- 불균형 데이터의 분류성능 향상을 위한 데이터 리샘플링 효과
- 4대 공적연금의 연령별 사망률 데이터 구축에 관한 연구
- 오차수정모형을 이용한 금융발전의 영향요인 분석
- 마취간호 교육프로그램이 회복마취간호사의 잡크래프팅, 임파워먼트, 직무열의에 미치는 효과
-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합리적 가계통신비 산정 및 통신비 차이 비교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BEST
- 50인 미만 사업장에 대한 산업안전보건감독이 재해율에 미치는 영향: 대전·충남 지역 중심
- 의사결정나무 분석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탐색
- 대학 재학생들의 중도탈락 패턴 분석 및 이탈 예측: H 대학교를 중심으로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NEW
- 생애주기별 경제문제와 결혼생활 평가가 결혼 만족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시간 흐름에 따른 정서 편향의 변화: 반응시간과 표류 확산 모델을 활용한 분석
- PLAS 기반 커뮤니티 텍스트 분석: 정치적 성향에 따른 언어 및 심리 특성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