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역사교육과 문화재 교육, ‘민족’을 위한 연합에서 ‘민족’의 탈각, 역사와 문화재의 구분으로
이용수 317
- 영문명
- Need for Reconstru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Education and Cultural Property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역사교육학회
- 저자명
- 강선주(Kang, Sun Joo)
- 간행물 정보
- 『역사교육연구』제37호, 173~208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7.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문화재와 문화재 교육의 탄생은 국민국가의 형성이라는 전 지구적 현상과 연결되며 국가주의를 이념적 배경으로 한다. 한국에서는 1950~1960년대 국가적 차원에서 문화재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계승할 만한 가치가 있는 과거의 문화적 소산을 보호하는 제도를 만들었다. 이후 문화재는 국민과 민족을 상징하고 민족문화를 대표하게 되었으며 1970년대에는 한국사 교육의 한 방법으로서 국민 양성이라는 임무를 맡았다. 역사교육에서 문화재는 민족문화를 신비화하여 절대적인 자기 긍정의 민족 정체성을 함양하는 데 기여했다.
이후 문화재를 지역사 교육의 교재로 주목하기도 했지만, 민족의식 함양의 수단으로 보는 시각은 변함이 없었다. 다른 한편, 역사교육에서 문화재를 유물이나 유적과 같은 의미의 용어로 사용하면서, 사료와 문화재를 혼용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고, 한국사 교과서의 문화사를 문화재에 대한 교육과 문화재를 통한 교육으로 보면서 문화사 교육과 문화재 교육을 같은 의미로 사용하기도 했다. 문화재와 역사는 공통적으로 집단 정체성 함양의 기제로서 사회 통합의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된다. 그러나 최근 문화재 내지는 문화유산과 관련된 사회적 담론과 학문적 연구는 역사와 문화재가 다르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 논문은 1950년대 이후 문화재가 어떻게 민족문화의 정수를 표상하게 되고, 역사교육을 통해 민족문화로 신성화되고 숭배되었는지, 1990년대 이후 역사교육에서 사고력을 강조하면서 문화재라는 용어가 어떻게 사료의 의미로 사용되었는지 살폈다. 그리고 최근 유산화와 유산학의 측면에서 역사와 문화재의 구분을 주장했다.
영문 초록
In Korea, in the 1950s, 1960s and 1970s, the government established the system of preserving and protecting cultural property at the national level, during which cultural properties have symbolized the Korean ethnicity and Korean culture, and carried out the task of nation-building. Since the 2000s, in the studies of cultural property or cultural heritage in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the terms, cultural property and artifacts have been used as if they had the same meaning. The term cultural property meant a source of historical inquiry and a means of developing historical thinking skills. The part of Korean history textbook dealing with the cultre of each era has been regarded as an account of cultural properties. Cultural property was not distinguished from history. However, recent social change and the rise of heritage studies highlight the difference between history and heritage. This paper argues that it is the time to reconstruct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education and cultural property education or cultural heritage education, distinguishing the concepts and methods of history and heritage.
목차
Ⅰ. 머리말
Ⅱ. 한국사와 문화재의 연합을 통한 국민 만들기
Ⅲ. 사회와 학계의 변화와 역사와 문화재·문화유산 민족 탈각, 새로운 관계 모색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