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남성의 웰니스지각에 따른 피부미용 인식 및 태도,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이용수 143
- 영문명
- Study on Aesthetics Awareness,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by Perception of Wellness in Adult Men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김민정(Min-Jeo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1권 제2호, 29~4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2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wellness perception on aesthetic awareness,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among adult men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established basic data needed to facilitate the beauty industry through the segmentation of the aesthetic market for men.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dult men, specific groups were excluded and samples were collected by referral to specialized research institute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analyzed by performing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collected samples.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perception of health, sex and self-refle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esthetic awareness. Second, perception of health, sex, self-reflection and nature reveal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esthetic attitude. Third, perception of health, self-reflection and nature showed a significant impact on behavioral intention. Fourth, aesthetics awareness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wellness perception, aesthetics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above results confirmed that while men’s wellness perception of health, sex, self-reflection and natur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overall aesthetics behavior, wellness perception on work and communication did not have any impact on their aesthetics awareness,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It was concluded that health management and aesthetic care are very closely related with each other for healthy life, and it is anticipated that they w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esthetic industry for men as wellness for men’s lives becomes more common.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need for segmented strateg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실증분석
Ⅳ. 가설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용종사자의 재교육기관에 따른 재교육활용이 선호도에 관한 연구
- 가야시대 여인의 머리 형태연구 삼국시대 여인의 머리 형태를 중심으로
- 뷰티 종사자의 행복플로리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미용기기가 피부개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폴 세잔의 정물화를 재현한 헤어아트 작품연구
- 피부 관리실 서비스품질이 고객 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뉴미디어 확장에 따른 콘텐츠 시장의 변화 연구
- 신라와 조선의 종교적 사상에 따른 남성 미용 문화 비교 연구
- 미용전공 전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및 주관적 행복감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
- 두피의 지루성피부염과 탈모 자각시기에 따른 탈모예방·관리실태 연구
- 헤어스타일 변화로 인한 감정 치유와 회복 탄력성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매개 효과
- 하위문화 인식에 따른 수용태도 연구
- 벨에포크시대의 쁘띠부르주아의 헤어스타일 특성분석을 통한 헤어디자인 연구
- 미용 교육 강사 지도유형이 교육생의 진로 및 수업 참여 태도, 미용 지속 의사에 미치는 영향
- 에스테틱 인스타그램의 이용동기가 서비스만족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플립러닝의 협력적 자아효능감과 학습실재감이 미용관련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성인남성의 웰니스지각에 따른 피부미용 인식 및 태도,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 패션프루트 껍질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
- 염·탈색 산화제의 VOCs 분석 및 세포독성 연구
- 역설계 시스템 적용을 위한 3D 스캐너와 포토그래메트리 방식의 유용성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