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피부 관리실 서비스품질이 고객 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29
- 영문명
-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in Skin Care Shop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Among Female Adults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박영신(Young-Sin Park) 황해정(Hae-Jung Hw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1권 제2호, 131~14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2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fundamental data and asses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5 factors of tangibility, reliability, response ability, assurance, and emotional care) in skin care shop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among female adults to provide helpful information for management of skin care shop.
This study was carried out as a survey using construct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otal subjects were 145 women who have used skin care shop in Busan. Questionnaire consisted 33 questions on service quality, 3 question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3 questions on revisit intentio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d ANOVA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program (ver 21.0). Customer satisfaction was mostly determined by response ability, followed by assurance, reliability, and emotional care. Customer satisfaction had the greatest direct impact on the revisit intention while response ability, confidence, reliability, and emotional care had indirect effects on the revisit intention. For recommendation intention, customer satisfaction was the most affected by direct effects, indirect effects and total effects. Then revisit intention had most influence in direct effects and total effects. The independent variables had indirect effects in the order of response ability, assurance, and reliability. As a result, the skin care shop should improve more on service quality rather than other factor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ervice that can provide more modern and professional technology than the external facilities of the skin care shop.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lan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program development that can meet the customer s demand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설계 및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용종사자의 재교육기관에 따른 재교육활용이 선호도에 관한 연구
- 가야시대 여인의 머리 형태연구 삼국시대 여인의 머리 형태를 중심으로
- 뷰티 종사자의 행복플로리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미용기기가 피부개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폴 세잔의 정물화를 재현한 헤어아트 작품연구
- 피부 관리실 서비스품질이 고객 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뉴미디어 확장에 따른 콘텐츠 시장의 변화 연구
- 신라와 조선의 종교적 사상에 따른 남성 미용 문화 비교 연구
- 미용전공 전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및 주관적 행복감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
- 두피의 지루성피부염과 탈모 자각시기에 따른 탈모예방·관리실태 연구
- 헤어스타일 변화로 인한 감정 치유와 회복 탄력성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매개 효과
- 하위문화 인식에 따른 수용태도 연구
- 벨에포크시대의 쁘띠부르주아의 헤어스타일 특성분석을 통한 헤어디자인 연구
- 미용 교육 강사 지도유형이 교육생의 진로 및 수업 참여 태도, 미용 지속 의사에 미치는 영향
- 에스테틱 인스타그램의 이용동기가 서비스만족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플립러닝의 협력적 자아효능감과 학습실재감이 미용관련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성인남성의 웰니스지각에 따른 피부미용 인식 및 태도,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 패션프루트 껍질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
- 염·탈색 산화제의 VOCs 분석 및 세포독성 연구
- 역설계 시스템 적용을 위한 3D 스캐너와 포토그래메트리 방식의 유용성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