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FTA 직접피해보전제도와 미국 농업인 무역조정지원제도의 법・제도적 비교 연구
이용수 70
- 영문명
- A Study o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Comparison between Korea’s FTA Direct Damage Compensation System and the US’s Trade Adjustment Assistance System for Farmers
- 발행기관
- 한국농식품정책학회
- 저자명
- 이현근(Hyun-Keun Lee) 문한필(Han-Pil Moon) 채상현(Sang-Hyen Chai)
- 간행물 정보
- 『농업경영.정책연구』농업경영·정책연구 46권 4호, 668~695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more accurate information and to seek legal and institutional measures to reduce social controversy and stakeholder conflicts related to FTA Direct Damage Compensation System. For this purpos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US TAAF and Korea s FTA Direct Damage Compensation System were compared and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rawn. First, it is necessary to alleviate three requirements: total imports, FTA imports, and domestic prices. At the same time, individual farmers eligibility(application conditions) need to impose not only production or sales facts but also conditions that demonstrate the impact of falling prices, so that farmers with substantial income losses can be supported. Second, the HSK code for the analysis of import volume requirements, which is one of the requirements for FTA direct damage compensation, is very import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transparency of system operation by specifying the scope of HSK for each item in the law or the enforcement decree in detail. Third, in the case of compensation program for closing, the effect of the closing of a certain item has caused a ballooning effect, such as the increase in the cultivation area of another item of the same category, leading to a price drop. This is a simple aid, and it is impossible to control supply in the medium to long term. Therefore, rather than paying subsidies uncon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method to pay a certain amount of subsidie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o establish a conversion plan through education and consulting programs. This will free up the WTO regulations on domestic subsidies and effectively support farmers affected by FTA imports.
목차
Ⅰ. 서 론
Ⅱ. 한국의 FTA 직접피해보전제도 추진 현황
Ⅲ. 우리나라 FTA 직접피해보전제도와 미국 농업인 무역조정지원제도(TAAF) 비교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식품소비 라이프스타일이 한식당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 미활용마 처리 및 정책 대안 연구
- 말산업 분야에 대한 축산발전기금 활용 확대 방안 논의
- 경주마 특성이 낙찰 확률과 경락가격에 미치는 영향
- 논밭 범용화사업의 사회적 후생효과 추정
- 농업 어메니티의 경제적 가치평가
- FTA 직접피해보전제도와 미국 농업인 무역조정지원제도의 법・제도적 비교 연구
- 마을만들기 사업의 지속성 제고에 관한 연구
- 백색우유 속성별 지불의사
- 오리 사육 휴지기제로 인한 사회적 후생 변화 분석
- 계층분석법(AHP)을 이용한 말 산업 R&D 발전방향 연구
- 농기계 임대사업소 적정개수 추정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