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게사고젠 이야기의 수용과 변용
이용수 10
- 영문명
-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Kesagozen Story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박려옥(Park, Lyu-Ok)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89輯, 153~17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中世軍記物語『源平盛衰記』には文覚(1139-1203)が誤って袈裟御前を殺害したのがきっかけで仏門に入ったという説話が伝わる。夫に代って殺された袈裟御前の悲話でもあるこの物語は以後、江戸時代に入ってから多様なジャンルの作品を通じて伝承された。 本稿ではその伝承の様相を歴史的に考察する方法として、袈裟御前の物語に注目した、江戸時代の作家たちの視線が込められている作品を対象に考察した。貞節を守った女性の典型として改竄されていく中には、かつて『源平盛衰記』の作者もその類似性に注目した、中国の『列女伝』に所収されている「京師節女」談の影も確認される。則ち、林羅山(1583-1657)をはじめとする儒学者の作品では袈裟御前の物語を傳える際に「京師節女」談の文句を借用したり、「京師節女」談を意識して「孝」と「節義」という儒教の理念を強調する物語へと変容している。その一方、曲亭馬琴(1767-1848)のように原話を充実に傳えながらも、「京師節女」談における最も重要な評価要素が「殺身成仁」であるように儒教の思想から袈裟御前の物語を語っている事例も確認される。 近代以降も袈裟御前の物語に向ける作家の視線は注がれているので、今後は近代以降の受容の様相についても比較考察を続けたい。
영문 초록
『GenpeiSeisuiki(源平盛衰記)』, a medieval Gunkimonogatari, contained the story in which Mongaku(文覚, 1139‐1203) comes to believe in Buddhism, on the occasion of mistakenly murdering Kesagozen. This story, a tragic one of Kesagozen who dies in place of her husband, was then transmitted through works in various generes by Edo period.
This paper examined some works including the views of representative authors in Edo period, who paid attention to the Kesagozen story, as a method for historically considering its transmission pattern. While Kesagozen was rephrased as a representative women who kept her chastity, the shade of the Gyeongsajeolnyeostory in , a Chinese novel, whose similarity with the Kesagozen story was also previously focused on by the author of GenpeiSeisuiki, could be verified. In other words, Confucian scholars including Hayashi Razan(林羅山, 1583‐1657) borrowed some phrases from ‘Gyeongsajeolnyeo story’, when they introduced the Kesagozen story in their works or transformed it into a story emphasizing Confucian philosophies such as ‘filial duty’ and ‘principles’, by referring to the Gyeongsajeolnyeo story. Meanwhile, some cases in which authors borrowed Confucian rules such as ‘sacrificing oneself to preserve one’s integrity’, the most important virtue, from the Gyeongsajeolnyeo story, while faithfully introducing the original story about Kesagozen, as did Kyokutei Bakin(曲亭馬琴, 1767‐1848) can be found.
Authors’ views have continuously concentrated on the Kesagozen story even after modern times.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comparatively consider its transmission pattern after modern times, in the future.
목차
1. 머리말
2. 게사고젠 이야기를 바라보는 시대적 간극(間隙)
3. 에도시대 게사고젠 이야기의 전승 양상
4.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韓国과 日本의 地域 児童福祉政策 比較硏究
- 일본 기계 관련 어휘 분석 연구
- 도조지(道成寺)문예의 여성표상
- 평생교육으로서의 일본어 강좌 실태 조사 및 활성화 방안
- 현대일본어에서의 조동사 (ら)れる의 용법
- 재일코리안 자기서사의 목록화와 유형화
- 『伊勢物語』第七段の「京にありわびてあづまにいきける」の解釈をめぐって
- 韓日の社会言語学研究は何を目指すのか
- 일본의 가족 변화와 새로운 주거 형태
- 호리 다쓰오(堀辰雄) 문학에 나타난 ‘변장(変装)’과 ‘아사쿠사(浅草)’ - 「수족관(水族館)」과 「날개짓(羽ばたき)」을 중심으로 -
- 일본의 취업현황과 지도방안
- 일본 마네키네코에 관한 민속학적 고찰
- NHK 대하드라마를 통해 본 일본 미디어문화의 특징과 인물 변화 양상 연구
- 福沢諭吉の天皇観に関する一考察
- 근대 부산 조선산업의 전개양상과 실태분석
- 다자이 오사무(太宰治)의 『유다의 고백(駆込み訴へ)』 론
- 일본인의 해양이향관(海洋異鄕觀) 고찰
- 格助詞「に」の意味と用法に関する研究
- 구루시마 다케히코(久留島武彦)의 구연동화와 식민정책
- 貝原益軒의 『東路記』에 관한 일고찰
- BCCWJのブログレジスタ-における話し言葉と書き言葉の諸相
- 게사고젠 이야기의 수용과 변용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