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NHK 대하드라마를 통해 본 일본 미디어문화의 특징과 인물 변화 양상 연구
이용수 256
- 영문명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Media Culture and Changes of Protagonists Based on the Analysis of NHK Historical Dramas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김서은(Kim, Seo-Eun)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89輯, 329~35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NHK大河ドラマは毎年新しい主人公を見つけ出して、出身地域を広報 したり、オリジナル脚本を再び本で出版するなど、メディアミックスとして再生産されている。 このようなメディアミックスの影響力で現れる文学、映画、ゲーム、観 光産業復興など多媒体を活用したシナジー効果は、日本メディア文化の特徴的な現象だと思われる。 最近10年間の日本の大河ドラマは、マルチメディアの発達と共に多様 な姿で変化を試みている。歴史を通じて現在の経済、政治、文化、社会的な問題が過去から存在してきたことであり、これを昔の人々がどのように克服してきたかを提示して、未来に向かって進もうと強調している。 また、最近10年の大河NHKドラマを分析すると三つのキーワードに分 けることができる。それは家族中心主義、女性の主人公を通した新しい歴史解釈、歴史的敗者および助演の躍進である。
영문 초록
The NHK historical TV dramas feature a new protagonist every year, and they are re-produced through advertisement of the home town of a protagonist or publication of their original stories.
Such media-mix effects yield synergetic effects, integrating the literature, the film, the computer game, the restoration of the tourism industry, and so on, and they are regarded as phenomena characteristic to the Japanese media culture.
In the last decade, the NHK historical TV dramas have changed in various respects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They point towards future directions by presenting the ways in which people in old 3times overcame economic, political, cultural, and social problems and showing that these problems remain in the contemporary society. Furthermore, I show that these NHK dramas in the last decade boil down to notions such as the family-centralism, a new interpretation of history provided by a female protagonist, historic looser, and the breakthrough of supporting actors.
목차
1. 들어가며
2. NHK 대하드라마의 특징과 연구동향
3. 일본 대하드라마의 인물 변화양상과 서사방식
4.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韓国과 日本의 地域 児童福祉政策 比較硏究
- 일본 기계 관련 어휘 분석 연구
- 도조지(道成寺)문예의 여성표상
- 평생교육으로서의 일본어 강좌 실태 조사 및 활성화 방안
- 현대일본어에서의 조동사 (ら)れる의 용법
- 재일코리안 자기서사의 목록화와 유형화
- 『伊勢物語』第七段の「京にありわびてあづまにいきける」の解釈をめぐって
- 韓日の社会言語学研究は何を目指すのか
- 일본의 가족 변화와 새로운 주거 형태
- 호리 다쓰오(堀辰雄) 문학에 나타난 ‘변장(変装)’과 ‘아사쿠사(浅草)’ - 「수족관(水族館)」과 「날개짓(羽ばたき)」을 중심으로 -
- 일본의 취업현황과 지도방안
- 일본 마네키네코에 관한 민속학적 고찰
- NHK 대하드라마를 통해 본 일본 미디어문화의 특징과 인물 변화 양상 연구
- 福沢諭吉の天皇観に関する一考察
- 근대 부산 조선산업의 전개양상과 실태분석
- 다자이 오사무(太宰治)의 『유다의 고백(駆込み訴へ)』 론
- 일본인의 해양이향관(海洋異鄕觀) 고찰
- 格助詞「に」の意味と用法に関する研究
- 구루시마 다케히코(久留島武彦)의 구연동화와 식민정책
- 貝原益軒의 『東路記』에 관한 일고찰
- BCCWJのブログレジスタ-における話し言葉と書き言葉の諸相
- 게사고젠 이야기의 수용과 변용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