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 마네키네코에 관한 민속학적 고찰
이용수 160
- 영문명
- Folkloric Consideration of Manekineko in Japan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노성환(No, Sung-Hwan)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89輯, 353~38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日本の招き猫は、19世紀頃、東京浅草の今戸から「丸〆」というマークをつけて誕生した。その原型は京都伏見のキツネ人形にあった。これの外観的特徴は、片方の手を挙げている姿である。それは前足で顔を洗う猫の独特のクセを良い前兆として意味を与えた結果であった。これにより、猫は片方の手で幸運を呼ぶ招き猫になった。しかし、猫が生者を呼べば幸運をもたらすが、死者を呼ぶと不幸を伴う俗信がある。招き猫は、前者を選び、後者を捨てることによって完全な幸運の猫として生まれた。その結果、農民たちには恵みの雨を、商人にはお客を、病人には治癒を、一般人には金運と幸運をもたらす福猫として定着した。幸運をもたらす猫の人形は、日本だけの占有物ではない。中国の雲南省の瓦猫、韓国の上院寺の猫も幸運の猫である。しかし、それらの姿は、日本の招き猫のように手を挙げていない。即ち、片手上げの招き猫は日本人によって作られた日本だけの特徴だと言わざるを得ない。
영문 초록
Japan’s “Manekineko” originates from the name “「丸〆」(Marusime)” in the Imado Shrine in Asakusa Temple, Tokyo, around the 19th century. The shape of the figure also resembles that of a fox sculpture in Hushimi Inari Shrine in Kyoto. The story of Maneki Neko began with a cat washing its face and meaning that luck would come in the future. There is a superstition that if a cat calls a living person, it is lucky, but if it calls a dead person, it is accompanied by misfortune. “Manekineko” became a symbol of the lucky cat by emphasizing the meaning of calling out the living. “Manekineko”, for example, brings rain to farmers, brings customers to merchants, recovers the sick, and brings wealth and good luck to the public. However, “Manekineko” exists in other countries besides Japan. A lying cat in China’s Unnam Province and a cat in a South Korean Sangwon temple play the same role. However, only in Japan can one see a cat with one hand up. Manekineko’s appearance is a unique feature made by the Japanese.
목차
1. 머리말
2. 마네키네코의 탄생과 원형
3. 마네키네코의 초복성
4. 한국과 중국의 복 고양이
5. 진화를 거듭하는 마네키네코
6.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韓国과 日本의 地域 児童福祉政策 比較硏究
- 일본 기계 관련 어휘 분석 연구
- 도조지(道成寺)문예의 여성표상
- 평생교육으로서의 일본어 강좌 실태 조사 및 활성화 방안
- 현대일본어에서의 조동사 (ら)れる의 용법
- 재일코리안 자기서사의 목록화와 유형화
- 『伊勢物語』第七段の「京にありわびてあづまにいきける」の解釈をめぐって
- 韓日の社会言語学研究は何を目指すのか
- 일본의 가족 변화와 새로운 주거 형태
- 호리 다쓰오(堀辰雄) 문학에 나타난 ‘변장(変装)’과 ‘아사쿠사(浅草)’ - 「수족관(水族館)」과 「날개짓(羽ばたき)」을 중심으로 -
- 일본의 취업현황과 지도방안
- 일본 마네키네코에 관한 민속학적 고찰
- NHK 대하드라마를 통해 본 일본 미디어문화의 특징과 인물 변화 양상 연구
- 福沢諭吉の天皇観に関する一考察
- 근대 부산 조선산업의 전개양상과 실태분석
- 다자이 오사무(太宰治)의 『유다의 고백(駆込み訴へ)』 론
- 일본인의 해양이향관(海洋異鄕觀) 고찰
- 格助詞「に」の意味と用法に関する研究
- 구루시마 다케히코(久留島武彦)의 구연동화와 식민정책
- 貝原益軒의 『東路記』에 관한 일고찰
- BCCWJのブログレジスタ-における話し言葉と書き言葉の諸相
- 게사고젠 이야기의 수용과 변용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