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인의 해양이향관(海洋異鄕觀) 고찰
이용수 7
- 영문명
- A Study on the Perspectives about a Maritime Another World of Japanese People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박연숙(Park, Yeun-Sook)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89輯, 177~20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濟州道の人々に信じられてきた海の彼方の異郷であるイヨドは、海中に ある暗礁のイオドが発見されたあと、その実存や観念が作り上げられた経緯などに対するさまざまな意見が出されてきた。本稿ではイヨドが観念上の島であり、それに描かれているイメージは普遍性を持つという見地から、それを日本の常世、女護嶋、そして沖縄のニライカナイとの比較を通して明らかにしようとした。 その結果、日本の三異郷に現われるイメージの重層性、または明暗とい う両面性は、豊穣の島、あの世、仙境などのイメージを持つイヨドに共通し、さらにその成り立ちにおいても本来の観念である豊穣の島に、別の諸形相が結び付いて、多層のイメージを作り出した様相とも類似している。又、歓楽と死が交差する女島としてのイヨドの観念をも、明暗の両面性を持つ女護嶋の性格に通じており、海に囲まれている島の人々が抱いた共通の世界観であったことが確認できる。以上のようなイヨドと日本の三異郷の類似性は島国という同じ環境の中で海洋民族の各々の考え方がもたらした普遍的な現象と解釈できる。
영문 초록
As for Iyeodo that Jeju people have imagined for a sea, ‘Ieodo‐like Socotra Rock’ of an underwater rock was discovered and so people have different opinions pertaining to issues such as how it was made, whether it exists or not, and etc. In this study, we attempt to have a solid aspect that Iyeodo is a conceptual island and its symbol is universal, through searching concepts on ‘Tokoyo’, ‘Nyogonoshima(女護島)’, and ‘Nirai Kanai’ in Okinawa, which Japanese people have thought about marine areas showing similarity in many aspec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se three another worlds in Japan, the double‐sided image of the overlapped brightness and darkness and features of its formation for them are common to the image of Iyeodo, which is passed down to the island of abundance of the original thoughts, the afterlife, enchanted land, and etc. The similarities between these two countries can only be thought of as a universal phenomenon caused by the thoughts of each maritime peoples in the same environment of island nations.
목차
1. 서론
2. 일본 고대인이 상상한 도코요
3. 류큐인이 상상한 니라이 가나이
3. 여인국인 뇨고노시마
6. 결론-제주인 이여도 관념과의 비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韓国과 日本의 地域 児童福祉政策 比較硏究
- 일본 기계 관련 어휘 분석 연구
- 도조지(道成寺)문예의 여성표상
- 평생교육으로서의 일본어 강좌 실태 조사 및 활성화 방안
- 현대일본어에서의 조동사 (ら)れる의 용법
- 재일코리안 자기서사의 목록화와 유형화
- 『伊勢物語』第七段の「京にありわびてあづまにいきける」の解釈をめぐって
- 韓日の社会言語学研究は何を目指すのか
- 일본의 가족 변화와 새로운 주거 형태
- 호리 다쓰오(堀辰雄) 문학에 나타난 ‘변장(変装)’과 ‘아사쿠사(浅草)’ - 「수족관(水族館)」과 「날개짓(羽ばたき)」을 중심으로 -
- 일본의 취업현황과 지도방안
- 일본 마네키네코에 관한 민속학적 고찰
- NHK 대하드라마를 통해 본 일본 미디어문화의 특징과 인물 변화 양상 연구
- 福沢諭吉の天皇観に関する一考察
- 근대 부산 조선산업의 전개양상과 실태분석
- 다자이 오사무(太宰治)의 『유다의 고백(駆込み訴へ)』 론
- 일본인의 해양이향관(海洋異鄕觀) 고찰
- 格助詞「に」の意味と用法に関する研究
- 구루시마 다케히코(久留島武彦)의 구연동화와 식민정책
- 貝原益軒의 『東路記』에 관한 일고찰
- BCCWJのブログレジスタ-における話し言葉と書き言葉の諸相
- 게사고젠 이야기의 수용과 변용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