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taking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o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structional Modifications and Their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하경화(Ha, Kyeong Hwa) 최효정(Choi, Hyo J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0호, 313~33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수교육학개론 수강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수적 수정 지식과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K도에 위치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재학생 45명을 대상으로 특수교육학개론 수강을 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실시 전후로 교수적 수정 지식과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육학개론 수강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수적 수정 지식 습득의 전 영역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학개론 수강은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 중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지식 및 태도와 장애유아에 대한 기대 수준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사의 인지수준에서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aking the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on the Instructional modifications and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in the education college. For this purpose, 45 students of one college, located in K province, measured the instructional modifications and their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before and after classes. Paired t-test was conduct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aking the introduction of special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area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cquisition of instructional modifications of inclusive education. Second, taking the introduction of special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inclusive education. However, it was found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inclusive education and expect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but not on teachers cognitive level.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