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의 스토리생성 모델 연구
이용수 295
- 영문명
- A Study on the Story Generation Model of Interactive Storytelling: Based on C. E. Shannon’s Communication Model
- 발행기관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저자명
- 윤현정(Hyun-Jung Yun)
- 간행물 정보
- 『글로벌문화콘텐츠』제22호, 133~15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2.28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비판적 관점에서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에 대한 기존 논의를 살펴보고 새로운 이론의 적용을 통해 그 스토리생성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은 ‘미디어-기술’ 편향, ‘사용자-과정’ 편향, ‘서사’ 편향이라는 세 가지 관점을 보이고 있었다. 이는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의 본질을 밝히기 어렵게 하는 요소로 본 연구는 사용자가 상호작용하는 표면 아래에 놓인 과정과 작동방식을 섀넌의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통해 살펴보고자 했다. 섀넌의 커뮤니케이션 모델은 정보의 전송 과정에서 생겨나는 불확실성과 잉여에 주목한 연구다. 이에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의 스토리생성 모델은 생산으로서 사용자 상호작용 플레이를 나타내는 ‘잉여 증대 모델’과 과정으로서의 사용자 상호작용 플레이를 나타내는 ‘불확실성 제어 모델’로 나타낼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story generation model of interactive storytelling. For this, this study deals with the existing discussions of interactive storytelling from the critical point of view. There are three perspectives that “Media-Technology” bias, “User-Process” bias, “Narratology” bias. These biases make difficult to reveal the nature of interactive storytelling.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the application of Shannon’s communication model for investigating the process and operation of the underlying surface which the user interacts. Shannon’s communication model focused on the uncertainty and the redundancy caused by transmission process of information. As a result, there are two ways of the story generation model of interactive storytelling. The user interactive play as a production indicates the increase redundancy model and the user interactive play as a process indicates the control uncertainty model.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을 둘러싼 논의들
3. 섀넌의 커뮤니케이션 모델
4.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스토리생성 모델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의 스토리생성 모델 연구
- Photograph: Memory, History, and Death in The Shining
- 이미지 중첩 - 몽타주를 통한 기억의 재현과 현시
- 전시회를 활용한 국가문화브랜드 제고 방안 연구
- 귀농ㆍ귀촌 지원을 위한 약ㆍ식용식물검색 앱 개발 제언
- 문화콘텐츠의 기술적 발전에 따른 게이미피케이션의 활용 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미디어아트와 문화콘텐츠의 상호연관성 연구
- 문화유산포털의 대중 소통 전략
- 모더니즘 회화와 영화
- Propaganda Techniques in Early Documentary Films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문화·경영·기술 제5권 제1호 목차
- 『삼체(三体)』의 이데올로기:원작과 넷플릭스 드라마 속 인물 비교를 중심으로
- 영웅의 교육적 수용을 위한 청소년 비행과 영웅적 행동의 관계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