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디어아트와 문화콘텐츠의 상호연관성 연구

이용수  188

영문명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Art and Cultural Contents: Based on J. Lacan’s Registers and F. Kittler’s Discourse Networks
발행기관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김소영(Soyoung Kim)
간행물 정보
『글로벌문화콘텐츠』제22호, 49~6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2.28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대사회는 디지털 매체를 기반으로 다변화하고 있다. 특히 예술의 영역에서는매체 기반의 미디어아트가 등장하였고, 문화콘텐츠 또한 디지털 매체를 기반으로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 예술은 문화콘텐츠에 다양한 표현기법과 영감을제공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아트와 문화콘텐츠 양자의 상호연관성을 밝히고자 한다. 먼저 미디어아트의 특성을 도출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은 라캉의 세 범주인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를 1900년대 기록체계인 ‘영화’, ‘타자기’, ‘축음기’와 연결한 키틀러의 논의를 근거로 한다. 이를 통해 ‘상상계-영화’, ‘상징계-타자기’, ‘실재계-축음기’라는 세 분석틀을 설정하고, ‘생성-발전-변환-재현’이라는 단계별 구성요소를 도출한다. 도출된 구성요소로 분석한 미디어아트의 ‘상호주관성’, ‘상호작용’,‘회귀본능’은 문화콘텐츠로의 능동적 전이를 거쳐 ‘상호주관적 주체’. ‘상호작용을위한 변용’, ‘회귀본능적 향유’로 연결된다. 끝으로 분석결과를 통해 문화콘텐츠의확장된 개념을 제시하고, 나아가 예술과 문화콘텐츠 양자의 결합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으로 마감한다.

영문 초록

aiming to discus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In this study, I use a research method based on Kittler’s theory of media technology that explains the film, typewriter, and gramophone in correlation to Jacques Lacan’s three cognitive dimensions - the Imaginary, the Symbolic, and the Real -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art. Three analytical frameworks, Imaginary-Film, Symbolic-Typewriter, and Real-Gramophone, are set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art through a four stage analysis of formation-development -conversion-representation and elements at each stage. Media art has three characteristics: intersubjectivity, interaction, and regression instinct. Each characteristics of media art, through an active transition into cultural contents, is interlinked to intersubjective subject, transformation for interaction, and regression instinct based enjoyment. The analysis provides an expanded definition of cultural contents, and concludes with a search for the possible conversion between art and cultural contents.

목차

국문요약
1. 미디어아트와 문화콘텐츠의 등장과 발전
2. 미디어아트의 범주와 매체적 특성
3. 미디어아트에서 문화콘텐츠로의 능동적 전이
4. 미디어아트와 문화콘텐츠의 합류(合流)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소영(Soyoung Kim). (2016).미디어아트와 문화콘텐츠의 상호연관성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22), 49-68

MLA

김소영(Soyoung Kim). "미디어아트와 문화콘텐츠의 상호연관성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22(2016): 49-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