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미지 중첩 - 몽타주를 통한 기억의 재현과 현시
이용수 370
- 영문명
- Overlapping Image - Representation & Presentation of Memories through Montage: An Essay on Gwangju 5ㆍ18 Photo Images
- 발행기관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저자명
- 김상철(Kim Sang-cheol) 박기현(Park Ki-hyun)
- 간행물 정보
- 『글로벌문화콘텐츠』제22호, 23~4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2.28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미지 중첩은 한 장소에 대해 시간의 간격을 두고 있는 두 이미지를 겹치는것이다. 특히 도시의 역사적 사건을 지속가능한 기억이 되게 하기 위해서는 이미지 중첩이라는 방법을 통해 과거와 현재라는 시간이 만나게 되면 도시의 새로운 서사가 만들어지고, 현재를 더욱 현재답고 의미 있게 해줄 수 있다. 이를위해 필요한 것은 상상력이며, 변증법적 이미지가 빛을 발하는 것은 상상력을통해서이다. 도시의 정체성을 만들어 낸 역사들이 현재에 의미가 있게 하기 위해서는 과거와 현재가 끊임없이 만나 섬광을 발하며 별자리를 만들어가고 있음을 보여주어야 한다. 1980년 5월의 광주라는 도시에서 일어났던 역사적 사건은 시간이 지날수록 도시의 개발과 함께, 사건을 경험하지 못한 세대의 증가로 인한 무관심으로 그 흔적과 의미가 퇴색되어 가고 있다. 도시의 과거 역사가 오늘의 의미가 되게 하기 위해서 시도해보는 과거와 현재의 중첩을 통해, 우리는 도시 곳곳에 스며있는 기억을 끄집어낼 수 있게 되고 현재와 과거는별개의 것이 아니라 하나로 이어져 있음을 알게 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도시의 역사적 현장에 현재의 모습과 과거의 모습을 중첩시켜 보여 줄 수 있는여러 가지 실천적 방법들이 필요하며, 그 중 하나로 증강현실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영문 초록
Overlapping Image is to overlap two images of a location from different time. In particular to make historical events sustainable memories, past and present of the city meet, which create an epic and become more meaningful through image synthesis. What is necessary for this is imagination. Imagination enables the dialectical image to glow. Past and present should meet constantly to emit flashes and show the constellation in order to allow history that creates the identity of city to be meaningful in the present. The trace and meaning of historical event that happened in the City of Gwangju in May, 1980 are fading away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the city and indifference due to increase of the generation who hasn’t experienced that historical event. We get to know that past and present are not separated but connected, bringing up the memories that is impregnated all over the city through synthesizing past and present to enable past history of the city to be meaningful in the present. Several practical methods that can show synthesizing past and present of historical site all over the city are necessary in order to implement this,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are getting attention as one of them.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도시의 역사, 이미지 그리고 기억
3. ‘동소이시(同所異時) 이미지’들의 중첩 그리고 몽타주
4. 5ㆍ18 기억의 재현과 현시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의 스토리생성 모델 연구
- Photograph: Memory, History, and Death in The Shining
- 이미지 중첩 - 몽타주를 통한 기억의 재현과 현시
- 전시회를 활용한 국가문화브랜드 제고 방안 연구
- 귀농ㆍ귀촌 지원을 위한 약ㆍ식용식물검색 앱 개발 제언
- 문화콘텐츠의 기술적 발전에 따른 게이미피케이션의 활용 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미디어아트와 문화콘텐츠의 상호연관성 연구
- 문화유산포털의 대중 소통 전략
- 모더니즘 회화와 영화
- Propaganda Techniques in Early Documentary Films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