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노인빈곤의 원인과 과제
이용수 3,314
- 영문명
- The Causes and Challenges of Elderly Poverty in Korea
- 발행기관
-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 저자명
- 성영태(Sung, Young Tae) 최인규(Choi, In Kyu)
- 간행물 정보
- 『사회융합연구』제4권 제2호, 169~17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인빈곤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발견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이론 고찰을 통해 노인빈곤의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노인빈곤 문제의 요인을 공적이전소득, 사적이전소득(사적부양체계), 노인의 노동기회 감소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요인의 분석을 통해 제시된 노인빈곤의 해소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민연금의 사각지대 해소 및 재정건전성의 확보, 둘째, 기초연금 역할 정립 및 수급권의 범위와 급여수준 상향, 셋째,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부양의무자기준 완화, 넷째, 사적연금의 강화 및 사적 부양체계 강화, 다섯째, 노인노동기회의 보장 및 일자리 세분화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해소방안을 통해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사회는 최우선과제로 노인빈곤문제를 해결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노후소득보장제도의 재설계와 공적연금, 사적연금 등을 포함한 통합적 연금정책의 설계가 필요하다. 셋째, 전통적인 사적부양체계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와 관련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 causes of elderly poverty and finding policy implications to address them. To this end, the factors influencing elderly poverty were examin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study looked at the factors of the problem of elderly poverty in Korea in terms of public transfer income, private transfer income (private care system), and reduced working opportunities for senior citizens. The following are the solutions to the elderly poverty presen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factors. First, it presented the national pension fund s blind spot resolution and securing fiscal soundness, second, establishing its basic pension role and raising the scope and level of entitlement, third, easing self-regulation of its obligation to support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system, fourth, strengthening private pension and strengthening private support system, fifth, ensuring senior labor opportunities and job segmentation. Through these solution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n society needs to solve the problem of elderly poverty as its top priority. Second, it is necessary to redesign the old income security system and design an integrated pension policy, including public pension and private pension. Third, more systematic research on traditional private incubation systems and related infrastructure building is needed.
목차
1. 서 론
2. 노인빈곤의 요인
3. 노인빈곤의 해소방안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민간경비원의 내부마케팅요인이 조직유효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자본과 경제성장의 관계
- 감염병 이슈와 공공의료의 패러독스(Paradox)에 관한 연구
- 3중 딜레마에 빠진 북한의 핵무장
- 우리나라 보육정책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연안지역보전을 위한 해역의 효율적 관리와 섬의 역할
- 조선유술의 기원과 조선군사무예로서 무형유산으로서 가치
- 한국 노인빈곤의 원인과 과제
- 나노입자함유 교정용 레진의 기계적 특성 평가
- 한국 군 리더십 연구경향 분석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arch engine results and suicide rates: Comparing Naver and Google
- 우리 정신′으로 극복하는 코로나19, 변화의 초석으로
- What is the Alternative for Baby Boomers in Community? : Experience N Community Senior Club
- 보건산업 클러스터내에서의 개별 협력활동이 기업의 재무적 성과 및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고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주말 여가활동의 상호관계
- 뉴테러리즘 시대 군의 대테러 능력 강화방안
- 공공외교 목표와 추진방향의 개념적 재모색
- 대구시 공공디자인의 시민효능감과 만족도 분석
- 무쾌감증의 인지행동요법 기반 긍정적 정서 자극 중재 문헌고찰
- 흡연자의 전자담배에 대한 인식, 태도 및 만족도에 대한 연구
- 베트남 랑찬현 초등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인식 연구
- 정부의 대학구조조정 정책에 관한 IAD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