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자본과 경제성장의 관계
이용수 287
- 영문명
- Social Capital and Economic Growth: Cross-country Panel Regression Analysis
- 발행기관
-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 저자명
- 도수관(Doh, Soo Gwan)
- 간행물 정보
- 『사회융합연구』제4권 제2호, 223~23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수준에서 사회자본과 경제성장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자본이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Legatum Institute에서 제공하는 2009년~2019년 패널데이터를 활용한 패널회귀분석(고정효과모형과 임의효과모형)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자본은 1인당 GDP 성장률과 인플레이션비율의 변동성을 고려하여 측정한 경제성장 수준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적 역동성, 투자 환경 요인, 노동 환경 요인, 안전과 보안 요인들도 국가의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효과성도 국가의 경제성장 수준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capital and economic growth at the country level. Panel data for year 2009-2019 came from the Legatum Institute. By adopting panel regression analysis such as fixed-effect and random-effect models, the author of this paper tests hypothesis that social capital has a positive impact on economic growth at the country leve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result is that social capital has a positive impact on economic growth measured by two key elements of the economy such as the GDP per capita growth rate and the volatility of the inflation rate. Second, it is also shown that countries with high levels of economic dynamism, investment environment, labor force engagement, or safety and security exhibit higher economic growth. Finally, government effectiveness can be an important factor for economic growth at the country level.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분석 자료와 분석 방법
4. 분석결과와 논의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민간경비원의 내부마케팅요인이 조직유효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자본과 경제성장의 관계
- 감염병 이슈와 공공의료의 패러독스(Paradox)에 관한 연구
- 3중 딜레마에 빠진 북한의 핵무장
- 우리나라 보육정책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연안지역보전을 위한 해역의 효율적 관리와 섬의 역할
- 조선유술의 기원과 조선군사무예로서 무형유산으로서 가치
- 한국 노인빈곤의 원인과 과제
- 나노입자함유 교정용 레진의 기계적 특성 평가
- 한국 군 리더십 연구경향 분석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arch engine results and suicide rates: Comparing Naver and Google
- 우리 정신′으로 극복하는 코로나19, 변화의 초석으로
- What is the Alternative for Baby Boomers in Community? : Experience N Community Senior Club
- 보건산업 클러스터내에서의 개별 협력활동이 기업의 재무적 성과 및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고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주말 여가활동의 상호관계
- 뉴테러리즘 시대 군의 대테러 능력 강화방안
- 공공외교 목표와 추진방향의 개념적 재모색
- 대구시 공공디자인의 시민효능감과 만족도 분석
- 무쾌감증의 인지행동요법 기반 긍정적 정서 자극 중재 문헌고찰
- 흡연자의 전자담배에 대한 인식, 태도 및 만족도에 대한 연구
- 베트남 랑찬현 초등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인식 연구
- 정부의 대학구조조정 정책에 관한 IAD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