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리나라 보육정책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이용수 944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ocess of the Daycare Policy Change in Korea
- 발행기관
-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 저자명
- 정우열(Jeoung, Woo Yeoul)
- 간행물 정보
- 『사회융합연구』제4권 제2호, 201~21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보육정책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이고, 연구 범위는 의존적 보육시기(1921년)에서부터 독자적이고 혁신적인 보육정책(2020년)까지로 한정하였다. 이를 위한 분석 기준은 크게 태동기, 확장기, 성장기, 변혁기로 하였다. 첫째, 태동기(1921∼1960)는 선진국의 원조로 아동에 대한 빈민구제사업을 한 시기이다. 둘째, 확장기(1961∼1989년)는 1961년 우리나라가 독자적으로 아동복리법을 제정·공포하고 본격적으로 보육시설 등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한 시기이다. 이 시기는 ‘60∼70년대 급격한 산업화·도시화 과정을 거치면서 여성의 일자리 증가와 함께 보육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많이 증가하였다. 셋째, 성장기(1990∼2012)는 보육에 관한 구체적인 법률이 갖춰지고 무상교육이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에는 독자적인 보육 관련 법이 제정되고, 보육 조직과 예산이 확보되어 보다 효율적인 보육서비스가 제공되었다. 넷째, 변혁기(2013∼현재)는 보육서비스에 대한 품질 개선과 공공성 책임이 강조되면서 정부가 보육을 책임지는 형태로 바뀌게 되었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향후 보육정책의 방향은 아동과 여성 그리고 국가라는 세 가지 맥락에서 숙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velopment process from the beginning of the daycare policy in Korea to the present and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The analysis criteria for this were largely as early as the beginning, extension, growth, and transformation. First, the period of the early stage (1921-1960) was the period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slum relief project for children with the aid of developed countries from 1921. Second, the period of expansion (1961-1989) was the period when Korea independently enacted and promulgated the Child Welfare Act in 1961 and prepared concrete alternatives to daycare facilities in earnest. This period, as women s jobs increased and social demand for daycare increased significantly through the process of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the 1960s and 1970s. Third, in the growing period (1990~2012), specific laws on daycare were prepared and free education began to be introduced. In this period, the sole law related to daycare at the national level was enacted, and the organization and budget were prepared, and quality services for daycare were provided. Fourth, the transformation period (2013~present) changed into the form where the government is responsible for daycare as the quality improvement and public responsibility for daycare services are emphasized. This study selected the scope of the study from dependent daycare policy to independent and innovative daycare policy (March 2020) and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fficiency of human resources in the country through the improvement of happiness rights of children, the status of women, and reproduction in the futur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우리나라 보육정책의 변화
4.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민간경비원의 내부마케팅요인이 조직유효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자본과 경제성장의 관계
- 감염병 이슈와 공공의료의 패러독스(Paradox)에 관한 연구
- 3중 딜레마에 빠진 북한의 핵무장
- 우리나라 보육정책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연안지역보전을 위한 해역의 효율적 관리와 섬의 역할
- 조선유술의 기원과 조선군사무예로서 무형유산으로서 가치
- 한국 노인빈곤의 원인과 과제
- 나노입자함유 교정용 레진의 기계적 특성 평가
- 한국 군 리더십 연구경향 분석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arch engine results and suicide rates: Comparing Naver and Google
- 우리 정신′으로 극복하는 코로나19, 변화의 초석으로
- What is the Alternative for Baby Boomers in Community? : Experience N Community Senior Club
- 보건산업 클러스터내에서의 개별 협력활동이 기업의 재무적 성과 및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고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주말 여가활동의 상호관계
- 뉴테러리즘 시대 군의 대테러 능력 강화방안
- 공공외교 목표와 추진방향의 개념적 재모색
- 대구시 공공디자인의 시민효능감과 만족도 분석
- 무쾌감증의 인지행동요법 기반 긍정적 정서 자극 중재 문헌고찰
- 흡연자의 전자담배에 대한 인식, 태도 및 만족도에 대한 연구
- 베트남 랑찬현 초등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인식 연구
- 정부의 대학구조조정 정책에 관한 IAD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