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최대전력부하가 발전설비별 발전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이용수 46
- 영문명
-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Effect of Peak Load on the Power Generating Fac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자료분석학회
- 저자명
- 김영덕(Youngduk Kim) 한현옥(Hyun-Ok Han)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21 No.4, 1893~190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통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일정 기간 동안 최대전력부하가 발생하면 이를 담당하는 발전설비가 이에 대해 대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기동성이 빠른 복합화력발전기가 최대전력부하에 대응하여 발전하는 설비로 알려져 있다. 본고에서는 최대전력부하가 개별 발전설비의 발전량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해당 발전설비 발전량과 다른 발전설비 발전량 및 전력수요 간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추정방법으로는 발전설비들의 발전량 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한 SUR(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방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발전량의 수준과 차분 변수를 모두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추정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화력발전은 당기의 전력수요나 평균전력부하에 대해서 유의적인 양의 반응을 하지만, 최대전력부하나 평균대비 최대전력부하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반응을 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둘째, 기력발전은 전력수요, 최대전력부하, 평균대비 최대전력부하에 대해서 유의적인 양의 반응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복합화력발전과 기력발전이 전원구성 기능면에서 제약적일 가능성을 제시하는 결과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stimates the effect of peak load on the generation of each power generating facility controling the power generation of other facilities and power demand. As an estimation method, SUR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is used since it considers the correlation between individual power generation facilities. Estimation results using both the level and the difference of power generation variabl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mbined cycle power genera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response to the power demand or the average power load of the current period, but it does not react significantly to the peak power load and the peak power load to the average. Second, it is estimated that the steam power generation responds significantly to the power demand, the peak power load, and the peak power load to avera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bined cycle power generation and the steam power generation may be restricted in the function of the power supply configuration.
목차
1. 서론
2. 모형 및 추정
3. 추정결과
4.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핵심기본간호술 평가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전문직 자아개념,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 고용없는 고성장 기업의 특성 및 결정요인
- 순환신경망 모형을 활용한 시계열 비교예측
- 아파트 임대가치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FACIT-Sp 영적 안녕감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 인지 과제 수행에서의 개인차 속성의 효과
- 간호학생을 위한 교육용 감염관리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효과
- Finding Best Model in Multiple Regression Applying Reversible Jump MCMC
- R&D Investment and Stock Returns: Evidence from China
- An Ensemble Approach to Domain Adaptation in Sentiment Analysis
- A Research on the Industrial Pollution and the Factor Content of Trade Model
-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행태와 의존에 대한 자기인식
- 손해보험회사 수익성평가에 관한 연구
- 사회적가치와 정부지원금이 경제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Estimation of the Exponential Distribution under Generalized Multiply Hybrid Censored Competing Risks Data
- 서울시민의 뇌졸중 발생에서 의료보장 유형별 격차
- Inefficiency of Korean Apartment and Jeonse Market : Focused on Jeonse-to-price Ratio
- PSM기반 대졸취업자의 전공관련 취업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보험회사 계약자지분의 가치관련성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아개념과 임상수행능력
- 회전교차로에 대한 교통안전교육의 효과성 분석
- 만성통증환자의 통증신념, 통증수용이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기계학습 방법에 의한 프로스포츠에서의 관중 수 예측과 그 요인들 연구
-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의 내부고발의도에 미치는 영향
- IPA를 활용한 축제서비스품질 평가연구
- Analysis of Multivariate Binary Random Effect Models using Hierarchical Likelihood Approach
- 협력적 필터링에서 순위일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Factors Influencing Outpatients’ Perception of Ambulatory Care Insufficiency
- 유전적 요인을 갖는 질병의 개인 및 가구요인에 대한 다수준분석의 의의
- 혼합물 실험자료에 대한 능형분석 연구
- 순수 수정된 대칭적 J 측도에 의한 연관 규칙의 생성
- 연관성 파악을 위한 변형된 대칭적 헬링거 측도의 탐색
- 강원지역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전공몰입도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지역 규모에 따른 유아의 기초체력 비교 및 가정연계 운동의 효과
- 최대전력부하가 발전설비별 발전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 환율과 유가 변동이 관광수요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 국제 뮤추얼 펀드의 현금흐름과 지역 주식시장
- 사회적 기업가의 사회적 정체성이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 경제정책의 불확실성과 은행의 수익성 변동간의 연관성 연구
- 희석효과에 의한 무관 리뷰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환자권리에 대한 인식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 간호대학생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BEST
- 의사결정나무 분석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탐색
- 대학 재학생들의 중도탈락 패턴 분석 및 이탈 예측: H 대학교를 중심으로
- 가정 내 아동학대 행위자 특성에 따른 유형분류: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중심으로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NEW
- 생애주기별 경제문제와 결혼생활 평가가 결혼 만족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시간 흐름에 따른 정서 편향의 변화: 반응시간과 표류 확산 모델을 활용한 분석
- PLAS 기반 커뮤니티 텍스트 분석: 정치적 성향에 따른 언어 및 심리 특성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